나는 빚을 다 갚았다 - 마이너스 인생을 바꾼 생존 재테크
애나 뉴얼 존스 지음, 이주영 옮김 / 한국경제신문 / 2016년 8월
평점 :
절판


얼마전에 읽은 “소비단식 일기”의 저자가 본인의 글에서 워낙 몇번이고 언급한 책이라 궁금증이 일었다. 어떤 부분에서 이 책을 인용하고 또 영향을 받았는지 확인해보고 싶었다. 이 책은 예상대로 사실상 “소비제한”이라는 동일한 주제를 전자에 언급한 책과 비슷한 내용으로 풀어내고 있다. 다른점이 있다면 “소비단식 일기”의 저자가 한국인 이라는것과 이 책의 저자가 미국인이라는점 뿐일까.(그 정도면 거의 번역본 수준인듯)
본 책은 2016년에 출판되었는데 (미국 현지에서의 출간은 언제인지 모르겠다) 내가 느끼기에 그때보다 심하면 심했지 자본주의의 소비를 향한 대중들의 사랑은 끊임없이 열렬하고 기업들의 수법은 더 발전되고 교묘해진듯 하다.

극단적이기까지한 작가의 (필수품만 구매한다는 소비제한 조건) 1년동안 이뤄진 실험은 (왜 이렇게 미국인들은 이런 극단적인 타이틀을 흥미로워하는 것인지) 과연 실행 가능한 것일지 조금 의문이 들긴했지만, 그 뒤에 담고있는 소비의 의미와 목적에 의문을 던지는 제안은 크게 공감할만 했다. 과연 내 자신의 의지대로 행동하는 소비인지 (작가가 말하는 필요한 물건, 원하는 물건의 차이) 아니면 기업이 추구하는 이상적인 목적과 그에 감흥되버린 타인의 영향으로 인해 전개된 소비일지 앞으로 우리는 정말로 진지하게 고민하지 않으면 안될지도 모른다고 제시했다. 매우 넓게 보자면 물질과다로 인한 풍요의 자연재해는 결국 사용하지도 못할 다량의 소비로인해 시작되었을 인간의 욕망에서 출발하였으리라 의심하지 않을수 없기때문이다. 이에 반발해서 “에코”니 “친환경”이니 각종 운동이 번져나가고 있지만, 그마저도 기업의 매끄러운 마케팅에 흡수되 소비의 또다른 패턴으로 장식된 현실을 마주하며 탄식만 내비치기에 자신이 너무 초라해보였다. (얼마전에 목격한 대형 포털내 쇼핑사이트의 “친환경 그린라이프 제로웨이스트” 기획전은 정말 그 표본의 대표적인 사례가 아닐까 싶었다; 제로웨이스트는 근본적으로 지금 가지고 있는 것을 더 계속해서 사용하되 불필요한 소비를 더 이상 하지 않는것에 기초하고 있지는 않는가??! 역시 기업은 돈이 필요하다!)
작가의 출발은 학자금을 비롯한 무분별한 소비습관으로 완성된 빚 청산에 있었지만, 그 가운데 소비를 제한하며 다시 바라보게된 본인의 삶을 소개한다. 자본주의 사회에서의 소비는 신성한 회개마냥 거룩한 행동임에 틀림없다. 단지 주체성이 사라진 무분별한 의식에 제약이 없다면 자신을 피폐화 하고자하는 중독적인 다른 행동과 무엇이 다르다 반론할수 있을까. 필요하지도 않을 물건을 변호하며 합리적인 목적을 구체화하는데 도사가 되어버린 나는 쓰라린 고통을 느끼는데 조금의 주저함이 없었다. 오랫동안 무섭게 뿌리잡고있는 소비습관을 항상 경계하고 되새기지 않으면 살아 남을 길이 없어보이는 현실에 이 책으로 조금이나마 위안을 삼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