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에 본 저자의 다른 책인 ‘번역은 반역인가’를 읽었다. 뭔 언어유희 같은 제목인지 좀체 신경이 쓰여서 그 내용이나 들여다보고자 했다. 거침없게 불편하기 그지없는 정신없는 책 커버는 신경을 거슬리게 하고도 남았다. 네살 아이가 떼쓰는 악덕 행동을 추출해서 책 커버에 덕지덕지 바르면 이런 느낌이지 않을까 했다. ‘번역청을 설립하라’는 그에 반해 매우 점잖은 신사이다. 유유출판사의 아름다운 판형도 한 몫 했지만 일부러 작가의 의도가 있었고, 애써 전작의 ‘번역은 반역인가’의 커버 이야기를 이 책에서 사소하게 언급한 것을 보니 이전의 그 책 커버가 어느 정도 논란이 되었는지 이해가 되었다. 다만 그게 내용이 아닌 책 커버에 대해서만 사람들 사이에서 언급되지 않았기를 바라며.작가가 주창하는 모든 의견에 나는 동의한다. 왜 사람들이 이런 생각을 하지 않았는지, 교육하지 않았는지, 언급하지 않는지, 화제가 되지 않는지 도대체 이해할 수가 없을 정도로 너무 공감했다. 전작이 2006년이고 이 책이 2018년인데 그 엄청난 시간의 양에 비해 사람들의 사고는 어이가 없을 정도로 변함이 없다. 강직하다고 해야 할까 신조가 있다고 해야 할까. 사실 ‘번역은 반역인가’를 읽은 독자들이 구태여 이 책을 읽을 필요는 없다. 동어반복처럼 닮은꼴의 책이 아주 간결하고 얇게 한 번 더 나왔을 뿐이기 때문이다. 나도 읽는 내내 다시 한 번 생각을 확고히 정리하는 느낌으로 책을 읽었다. (혹시 몇 년 뒤에 또 출판하지는 않겠지요;;) 이 책은 인문학자라는 작가의 배경답게 글이 아름답게 잘 정리되어있고 그의 논지도 매우 탁월했다. 많은 사람이 이에 동의하지 않거나 잘 모른다는 지금의 상황이 매우 아쉬울 따름이지만 그만큼 아직 변화의 기회가 있다는 사실에 조금의 희망을 품어보려 한다. 우리는 빠르게 성장하고 그만큼 큰 비용을 지불하면서 과도기의 한가운데 남아있다. 그 때문에 아직도 사회적인 문제들이 수두룩하지만 그 가운데 작가가 제기한 문제는 우선순위로 해결하는 순간이 다가올 것이고 나는 그때에 앞서 이 책을 단연코 떠오르게 될 것이다. 좀체 쉬지 않고 문제를 만들어 내고 문제를 해결해 나가려는 한 국가의 감출 수 없는 부지런한 근면성이 여지없이 드러나기를 마다치 않으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