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역은 반역인가 - 우리 번역 문화에 대한 체험적 보고서
박상익 지음 / 푸른역사 / 2006년 2월
평점 :
품절


신기한 제목이다. 지식인의 언어유희인가 하고 웃어넘겼는데 그렇게 쉽게 생각하고 넘길 절대 가벼운 얘기는 아니었다. 서양학을 전공한 교수님이 쓴 글이라길래 조금 편견을 가지고 무겁게 책을 읽기 시작했다. 대학을 졸업한 지는 오래되었고 누군가의 강의를 들어본 기억이 좀처럼 쉽게 떠오르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 글이 세상에 나온 지는 벌써 십 년도 훨씬 넘었는데 작가가 제기한 문제들이 과연 얼마나 해결되었을까 하는 의문이 먼저 들었다. (그만큼 아무 변화도 없어 보인다) 기성세대의 철밥통으로 무장한 단단한 집단에 오랜 세월은 어떠한 변화를 주었을까. 현재 체감상 느끼는 내 반응은 떨떠름하다. 앞서 해결되어야 할 매우 급한 일들에 앞서 작가의 제안은 아직도 사소하고 부차적인 부록에 불과해 보였다. 일개 시민에 불과한 나조차 이런 인상이 강한데 거대한 사회는 조금이라도 반응했을까? 현재의 한국은 마치 외형으로는 휘황찬란한 문화를 구축해나가고 그 어느 나라도 부럽지 않을 콘텐츠를 만들어 나가고 있지만, 그 이면에 토대로 마련된 문화를 경시하는 것 같다. 미디어에서 떠들어대는 우리는 우리 자체로 대단해 보였고 창작 그 자체로 기원이 된 것처럼 그려졌다. 이 책은 번역이라는 이야기를 중심으로 생각지도 못한 우리 사회를 역사를 차근차근 되짚는다. 글 안에는 작가의 사려 깊음과 나라를 생각하는 마음 따뜻함이 느껴졌다. 논문 같은 딱딱한 글에서 기대한 반응은 절대 아니었다.
다만 책표지는 좀 거슬린다. 인문학이 존재하는 건 많이 사람들에게 읽혔을 때 그 의미를 다 한다고 했지만, 표지가 사람들을 거부하고 있는 것 같아 아쉬웠다. (글이 아주 좋으니 개정판으로) 절대 표지만으로 그 안에 담긴 작가의 멋진 글들을 외면하지 않았으면 좋을 한 권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