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수 지은 집 - 세계 각지의 전통가옥
존 니콜슨 지음, 양상현 옮김 / 현암사 / 2008년 6월
평점 :
품절



우리 딸은 이 책을 보면서 저더러 "엄마 집 지으려고?" 묻습니다. ^^
제목 자체가 풍기는 이미지가 그러했나봐요.

 

이 책은 지구상에 존재했었던, 지금도 존재하고 있는 세계 각지의 전통가옥에 대한 이야기를 담고 있는 책이랍니다.
전통가옥이라고 하면 스텝지대에 있는 이동식 천막, 우리나라의 초가집, 너와집 정도 떠오릅니다. 외국의 수상가옥도 떠오르구요.
이렇게 듬성듬성 알고 있는 것들을 아주 잘 정리해준 것이 이 책입니다.

 

이동식집, 갈대집, 풀집, 점토집, 나무집, 돌집 등 분류된 카테고리별로 존재하는 전통가옥의 종류와
그 안에 거주하는 사람들의 모습, 내부평면도, 만드는 방법 등을 이야기해주고 있습니다.
실제화보가 아닌 세밀화라고 할까요. 그런 그림들이 일러스트로 덧붙여져 있습니다.

 

책을 보다 보니 그래도 가장 많이 보아왔던 이글루가 기억에 남네요.
얼음으로 만들어서 어떻게 그 안에서 살 수 있었을까. 얼음이 녹지 않고, 그 안은 따뜻하고..
참 신기하다는 생각은 했었더랍니다. 그 이글루의 만드는 방법이 자세히 소개되고 있습니다.
그리고 열대지방에 있는 갈대로 만들었다는 무드히프, 인도네시아의 통고난...
다른 지방에 있는 흙집, 동굴을 파서 만든 거주지, 수상가옥 등등
세계 여러 지역에 있는 전통가옥들을 한데 모아 볼 수 있었습니다.

 

목적이 거주라는 것이 공통점이지만 어쩜 그리도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여 집을 지었는지...
역시나 사람들의 슬기는 대단한 것 같아요.
그리고 주변의 재료를 사용하여 그 지역에 딱 맞는 집을 짓는 것도 생활의 지혜라고 생각되네요.

 

환경에 맞게, 그들 주변의 흔한 재료를 써서 만들어서 거주하는 인간들의 모습은 어찌보면 종족보존을 위한 하나의 몸부림이겠지만
그 방법 하나하나를 생각해내는 사람들의 지혜를 보면서 역시나 인간은 만물의 영장임을 느끼게 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