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버지와 함께한 하루
마이클 모리스 지음, 김양희 옮김 / 꽃삽 / 2007년 12월
평점 :
품절


네이선씨!

아버지에 대해 속속들히 알게 된 점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

저 역시 살아가는 데 있어서 당신처럼 [죽음을 앞둔 것처럼 사는 기회]를 놓치지 않고 갖길 바랍니다.

 

짤막하지만 주인공에게 편지를 써보았습니다.

전체적인 책의 느낌이 드라마틱한 미국영화를 보는 것 같았습니다.

가족과의 화해, 용서를 다룬 전형적인 미국가정이 나오는 그러한 영화 말이지요.

식상하지 않고, 오랜만에 즐겁고, 때로는 눈물도 흘리면서 보았습니다.

 

우리 사회에는 네이선과 같은 사람들이 많습니다.

직장에서 자기가 맡은 비중이 너무나 커서 아무나 대신할 수 없는 고유의 일이고, 자기가 빠지게 되면 회사가 돌아가지 않을 것이라 생각하는 일중독에 걸린 사람들 말이지요. 

하지만 짧지 않은 직장생활을 한 저의 입장에서 본다면 당장 그 사람이 없으면 일에 차질은 생기지만 조금 지나면 그 자리는 서서히 메꿔지게 됩니다. 즉, 그 일은 내가 아니어도 할 사람이 있다는 말이지요.

대학중퇴까지 하면서 지켜온 회사였는데, 네이선의 입장에선 배신감도 느꼈겠지요. 하지만 전화위복이라고 할까요? 그러한 일이 있었기 때문에 가족과의 시간, 용서라는 시간을 갖게 된 것이라 생각합니다.

 

우연한 사고로 인해 발견하게 된 폐의 하얀반점... 이 하얀반점의 정체는 무엇일까?

암으로 치료받다가 돌아가신 어머니를 떠올리게 되고, 그런 어머니를 혼자가게 내버려둔 아버지도 떠오릅니다.

네이선은 아버지를 용서하지 않았습니다.

 

정작 몸이 아프니, 자기주변을 지켜주는 것은 회사가 아니었습니다. 아내와 딸이었지요.

아내와 딸은 네이선의 전부였습니다. 정체불명의 반점 덕분에 깨닫게 된 사실이었구요.

고향인 촉토로 가게 된 네이선의 가족, 자기의 외할머니와 아버지를 만나게 되고, 우연히도 아버지와 여행을 가게 되지요.

아버지와의 여행길에서 겪은 많은 일들, 그리고 네이선이 알지 못했던 어머니와 아버지의 관계, 편지, 오해, 화해....

 

역시 사람에게는 가족이 가장 중요합니다. 그리고 대화도 중요합니다. 

네이선과 아버지, 그리고 네이선의 아내, 딸, 그리고 외할머니까지 다들 네이선을 소중히 생각하는 그의 가족들이었습니다.

아버지와의 관계에서는 어머니와의 일이 그 사이에 끼어서 회복불가능한 상태가 되었지만

그것들도 가족이기에, 사랑하기에 다 용서가 되고, 화해되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죽음을 앞두고, 치료에만 매달려 정작 가족들과 시간을 갖지 못하는 것에 비한다면

네이선은 그 기회를 얻었기에 다른이에 비해서는 행운아라 보여집니다.

 

이 책의 저자는 팀 맥그로의 노래를 듣고 영감을 얻어서 글을 썼다고 하는데요.

책을 다 읽고 나서 Live like you were dying 을 검색해서 들어보았습니다.

영어가 짧지만 그래도 그 느낌은 고스란히 전해오네요.

아버지의 정을 느끼고 싶은 분들 읽으시면 좋을 것 같아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