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에서 끝내는 아인슈타인 - 빛.질량.에너지.상대성 이론 청소년이 꼭 읽어야 할 아비투어 교양 시리즈 2
피터 루츠 지음, 권소영 옮김 / 여우오줌 / 2007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일반인들이 아인슈타인하면 무엇을 떠올릴까요?

뇌의 쓰임새, 상대성이론, E=mc2 이 정도일 것 같아요.

우리 아이들도 정확하게는 인지하지 못하더라도 그 용어에 대해서는 들어봤을 것입니다.

책이 얇으면서 아인슈타인의 업적 중심으로 이야기가 펼쳐지고 있습니다.

물리학에 대한 내용이고, 번역서라 그런지 아주 쉽게 이해가 되지는 않아요.

하지만 상대성이론이라든지, 빛에 대한 이야기 등에 대해서는 기존에 알고 있는 지식에다가 덧붙이기를 해주었던 것 같아요.

초등학교 고학년 정도면 충분히 읽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그 내용에 대해서 완벽하게 알기는 어려울 것 같기도 해요.

워낙 물리가 쉽지는 않잖아요.

 

아인슈타인은 특수 상대성이론과 빛의 성질 물질에 대한 논문을 발표하면서 세계적으로 유명해지게 됩니다.

그리고는 1922년 노벨 물리학상을 받게 되지요.

그리고 아인슈타인이 살던 그 시대에도 과학계의 병폐같은 것이 있었나봅니다.

천재적인 과학자였고, 그의 방식대로 연구를 했더라면 더 빛을 발했을지도 모르는데, 그 역시 과학계의 여러 가지 제약에 복종해야만 했지요. 현대로 오면서 이러한 과학에 반대하는 반과학계 학자들도 나타나지만 아인슈타인은 그냥 그 현실에 복종을 했나봅니다.

실로 안타깝다는 생각이 들어요.

 

아인슈타인의 이론은 지금까지도 사람들이 완전히 이해하는 사람이 드물다고 합니다.

그 이유는 그의 이론은 완벽하지만 문제는 우리의 사고를 모두 바꾸어야만 그의 이론에 대한 이해가 가능하다는 점이랍니다.

완벽한 천재과학자 아인슈타인, 한단계 앞서는 천재임에는 틀림없는데, 그 천재를 뒷받침해 줄 수 있는 과학계의 분위기가

없었다는 것이 아쉬우며, 앞으로 아인슈타인의 이론처럼 획기적인 이론이 나오길 기대합니다.

내용은 어려웠지만 이런 기회에 아인슈타인에 대한 이론도 공부해보고 좋은 시간이었던 것 같아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