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없는 도깨비 온 겨레 어린이가 함께 보는 옛이야기 1
홍영우 그림, 서정오 글 / 보리 / 2007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 옛이야기를 잃다보면 입꼬리가 올라가면서 잔잔한 웃음을 느낄 수 있습니다.

해학과 웃음이 담겨져 있고, 우리의 모습과 너무 닮아있기 때문이지요.

도깨비가 등장하는 이야기를 보고 있노라면 무섭기도 하고, 도깨비의 모습에 웃음을 자아내기도 합니다.

그리고 도깨비는 꼭 보답을 한다는 이야기, 어느 이야기나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이야기이기도 하구요.

정신없는 도깨비. 이 책 역시 도깨비가 등장하는데요. 무서운 도깨비가 아니고, 약간은 바보스럽기도 하고, 얼빠져 있기도 하고,

자기 딴에는 머리를 쓴것인데, 입가에서 웃음이 끊이질 않아요. 

 

전형적인 옛이야기의 특징.. 옛날에 옛날에... 이 이야기도 이 문구로 시작합니다.

농사꾼이 아주 가난한 농사꾼이 살았습니다.

남의 농사일을 해주고 품삯으로 돈 서 푼을 받아서 괴춤에 넣어 집으로 돌아오고 있었어요.

마을 어귀를 돌다가 갑자기 도깨비가 나타나는거예요.

그 도깨비는 농사꾼에게서 서 푼을 꿔갑니다. 그러면서 내일 갚겠다고 하지요.

그 다음날 도깨비는 농사꾼에거 서 푼을 갚습니다. 그런데 계속해서 그 다음날도, 그 다음날도 서푼을 가져오는게 아니겠어요?

계속적으로 가져다주는 도깨비의 서 푼으로 농사꾼은 부자가 되어요.

그런데 조용히 살고 싶은 농사꾼은 매일 저녁마다 찾아오는 도깨비가 부담스러워진거예요.

그래서 머리를 쓰게 됩니다. 내용은 책으로 확인을 하세요. ^^

 

우리 이야기에 등장하는 도깨비, 그리고 대부분의 책에서 뿔달린 것으로 묘사하는데요.

이 책의 도깨비는 그렇지가 않아요. 몸전체가 붉은 색으로 머리는 쭈삣쭈삣 하늘로 치솟았지요.

표지의 뒷못브은 도깨비가 화가 나서 씩씩대는 모습같기도 하고, 복수를 하고 의기양양 떠나는 모습같기도 하고 그래요.

책을 보면서 무서운 모습이 아닌 친근하고, 약간은 어리숙한 도깨비의 모습이 정겨웠던 것 같아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