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듯 말듯 우리말 바루기 - 어휘력이 자라는 초등 교과서 낱말편
이상배 지음, 최남진 그림, 김선철 감수 / 뜨인돌어린이 / 2007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말 바르게 하기, 바르게 바로잡기..

어떤 내용이 들어 있는지 짐작이 되시지요?

아이들이 보기 쉽게 나온 책이지만 엄마인 제가 먼저 봐야 할 책이라는 생각이 들어요.

국어라는 것이 쉽게 느껴지면서도 막상 글쓰기를 할 때는 미세한 차이로 헤갈리는 경우가 종종 있답니다.

낮다, 낫다, 계발인지, 개발인지, 신비한, 신기한, 이쁠까, 예쁠까 등 아이들이 혼동하기 쉬운 여러 가지 예를 제시해 주고 있답니다.

그리고 차례에 보면 초등학교 몇 학년 과정에 어떤 교과에 몇쪽에 있는 것까지도 친절하게도 설명해주셨답니다.

 

제가 직장생활 처음 시작할 때 보았던 책이 있었어요.

새 한글맞춤법에 맞춘 이야기 였던 걸로 기억하는데요.

그 책에 나오는 우리 말과 관련된 이야기는 어른용이라서 좀 어렵게 설명이 되었다는 기억이 있는데요.

우리말 바루기 이 책은 너무 쉽게 설명이 되어 있습니다.

 

혼동하기 쉬운 단어를 제시하고, 그것을 일단 국어사전에서 찾아서 풀이를 해주고,

그 낱말이 들어간 예문이 두 가지가 나옵니다. 그리고는 그 낱말을 사용하여 글을 지어보는 문제까지 하나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또한 설명해 주는 예시가 너무 재미있게 되어 있어요.

마음이 예쁠까, 이쁠까? 에서는 이쁘다는 말은 쓰지 않는 것이 좋다는 설명도 기억해야 할 것 같아요.

웃어른과 윗어른의 차이점 역시 혼동하기가 쉽답니다.

그러므로, 그럼으로, 로써, 로서 등등 자주 시험에 나왔던 그 낱말을 설명해주고 있어요.

 

이 책에서 가장 좋았던 부분은 3장 살려 써야 할 우리말 바루기 부분이었어요.

개밥바라기, 곰비임비, 곱다시, 낙낙하다 등등 예쁘고 아름다운 우리 말이 참 예쁜것 같아요.

이런 말들을 자주 써야 하는데... 라는 생각을 하기도 했구요.

 

어떤 부모님들은 우리말보다 영어를 강조한다고도 하는데요.

저는 우리말부터 배워야 한다고 생각해요.

우리말을 바르게 사용하고, 어렵게 느끼지 않기 위해서는 자주 보고, 맞춤법도 익히고 해야 할 듯해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