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더 - 절대 모성애에 관한 영화가 아니다>

<마더 포스터중 가장 영화를 함축하고 있는 포스터 (개인적으로) 김혜자의 광기어린 표정과 외면하는 아들의 어두운 실루엣>
* 마더는 살인과 성에 대한 이야기다.
'마더'는 살인에 관한 이야기다. 더 나아가 살인과 '성'에 관한 이야기다. '마더'를 모성애에 관한 영화라고 생각했다면 큰 오해다. 마더는 절대 모성애에 관한 영화가 아닌 것이다.
그저 모성애는 '마더'를 추동하는 에너지일 뿐이다. 그 모성애가 살인을 불러일으키고 영화는 모성애는 아들을 살인자로 만든다. 모성애로 모자는 끔찍한 기억이 한,두개 쯤 들어 났을 뿐이다.

* 디테일에만 신경쓴 아쉬운 영화
영화의 전반적인 평을 간단히 말하자면 영화는 루즈했다. '괴물'의 그 긴박함은 어디갔으며 '살인의 추억'의 그 숨통을 죄여오는 듯한 긴장감은 어디갔는지 모르겠다. 지루했고 슬펐고 끝나고 나면 김혜자의 연기만이 머릿 속에 남을 뿐이다. 원빈의 바보연기는 그는 어느 순간 바보였다 원빈으로 돌아오길 몇차례. 절대 원빈이 바보로 보이지 않는다. 물론 영화는 김혜자에게 초점을 맞추고 있으나, 원빈의 얼마든지 바보연기를 보여줄 기회가 있었다. 원빈은 그저 바보연기를 했다. 절대로 바보로 보이지 않는다.

<이얼굴이 어떻게 바보로 보인단말인가?...>
영화의 영상미는 훌륭했다. 처음 장면에서 김혜자가 미친척 춤을 추는 장면에 압도당했다.
첫 장면에서 김혜자는 갈대가 우거진 누런 들판에서 정신을 놓은 것 같은 표정으로 춤을 춘다. 놀라운 것은 배경음이 깔리고 그에 맞게 춤을 추는 것 같지만 자세히 들여다 보면 음악이 없는 채로 춤을 추고 있다는 사실을 볼 수 있다. 문제는 그 느낌이 고스란히 전해지면서 배경음과 어울린다는 점이었다.영화를 보는 동안 몇몇 사람들은 웃었지만, 나는 웃을 수 없었다. 그 춤사위가 무언가 무거웠다. 정신을 놓은 사람이 추는 춤사위가 아니라, 무거운 짐을 진 사람이 미쳐가지 못해서 추는 춤같았다. 김혜자가 주로 입고 있는 자줏빛옷과 꽃무늬옷들 하며, 약재상의 어둡고 약재 냄새가 날 것만 같은 분위기 그리고 입구쪽이 환한 그 곳에는 언제나 아들이 있는, 그런장면들이 인상깊게 남았다.

* 잤니? 잤어?
영화에서는 잤다는 말이 굉장히 많이 나온다. 심지어 엄마랑 잔다는 도준의 말에 형사마저도 엄마랑 잤냐 며 놀라워한다. 영화 전반에 흐르는 성의 인식은 바보 '도준'을 통해 거미줄처럼 연결된다. 도준은 여자랑 자고 싶어하고 그것이 당연하다고 생각한다. 엄마마저도 도준에게 여자랑 잤냐고 물어보며 정력에 좋은 음식을 권하기도 한다.
도준이 죽인 쌀떡소녀에게는 비극적인 일상으로 남자를 증오하는 대상으로 바꾸어가고 도준이 좋아하는 재수생은 도준의 친구 진태와 자며 끊임없이 도준에게 웃어준다.
쌀떡소녀의 죽음으로 표면 위로 올라온 마을의 '성'대한 굴레는 아정의 친구, 고등학생, 그리고 고물상 할아버지, 기도원 종팔이로 옮겨가며 칭칭 휘감는다. 영화는 성과 살인을 거밀줄처럼 희미하지만 천천히 옭아맨다. 그 거미줄 밖에는 '진태'만이 유유히 차를 몰며 사라진다.

* 도준은 정말 바보일까?
일부 사람들은 도준이 다섯살때 자신에게 농약을 먹여 죽이려고 한 엄마에게 '복수'를 하기 위해 바보연기를 한 것이라고 한다. 하지만 이건 너무 과잉해석이고 내가 생각하기엔 도준은 정신이 나갔다 들어왔다 한다. 바른 판단을 할 수 있는 '바보'가 아닌 순간에도 바보인 척 하는 것이다. 그것은 바카스병(농약)을 기억한 것과 글씨를 읽을 수 있다며 도장을 찍는 부분이다. 자신이 '살인' 한 것을 알고 있으면서 끊임없이 사람들을 헷갈리게 한다. '농락'이며 의도적 교란이다.목격자인 할아버지를 기억하며 엄마를 찾는 부분은 자신의 살인을 부정하려 함이고, 엄마에게 침 놓는 은색 보관함을 건내주며 엄마에게 왜 그 곳에 갔는지 물어보지 않고 '잘챙겨야지'하는 장면은 도준은 엄마의 살인을 알고 자신과동질감을 느끼는 부분이 아닐까 생각한다.

* 엔딩에 관하여
은색 침통을 받아들고, 그렇게 영화 내내 나쁜 기억을 잊게 해준다는 침 자리에 도준모는 침을 놓는다. 그리고 관광버스에서 춤을 추는 아주머니들 사이에 섞여 춤을 춘다. 뚜렷하게 보이는 것이 아니라, 저물어가는 붉은 노을 빛에 검은 실루엣들만이 끊임없이 춤을 추는지 허우적거리는지 모를정도로 화면은 흔들린다. 이 장면은 처음 김혜자가 미친 척 하며 춤을 추었던 장면과 오버랩 되는데, 처음에는 도준모가 고물상 아저씨의 집을 불태우고 나와서 정신을 놓고 들판에서 춤을 췄다고 생각했다. 다시 생각해보니, 아니다. 도준모는 아들이 준 침통을 받는 순간 미쳤고 버스에서 춤을 춘 것이 아니라 들판에서 춤을 춘 것이다.

* 두번 씩 살인을 한 모자
도준과 도준모는 두 번 씩 살인을 한다. 아정과 고물상 아저씨를 각각 죽이고, 결국에는 서로를 한 번씩 죽였다. 농약을 먹여서 죽이려했고, 은색 침통으로 살인의 기억을 되집어 주며 서로의 삶을 죽인다. 이것은 모성애에 관한 영화가 아니라는 증거다. 서로의 삶을 끌어당기고 있으면서 사실은 서로 놓아버리고 싶은 충동을 느끼는 두 모자. 마더는 절대 모성애에 관한 영화가 아닌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