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딴방
신경숙 지음 / 문학동네 / 1999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가 걸어 잠근 외딴방> 

 

  그녀처럼 더듬거리며 나, 쓰려고 한다. 쓰려고 키보드 위에 손을 올려놓고 몇 번을, 다시 몇 번을 망설인다. 이 글은…… 그래 이 글은, 그녀의 아픔을 헤집고 헤집어 결국 내 아픔을 빤히 들여다보는 일이라는 것을…… 나는 너무나 잘…… 알기 때문이다. 이 리뷰가 어디까지 닿아서 나를, 그 시절 외톨이 갔던 나를, 캄캄한 외딴방에 밀어 넣을지 두렵다.

  열일곱의 나, 처음으로 접해보던 야간자율학습시간에 감독선생님의 눈을 피해 <외딴방>을 몰래 펴서 읽는다. 소설 속에서 그녀는 컨베이너 위에서 난쟁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을 베껴 쓰고 있는 중이다. 나도 그녀를 따라해 본다. 그녀의 문장들을 훔쳐오고 싶어서 노트 뒷장에 그녀의 문장을 조심스럽게 옮긴다. 주위를 둘러보니 아이들은 첫 야간자율학습시간이 지루할 법도 한데, 고등학생이 되었다는 압박감 때문인지 문제집에서 눈을 떼지 않는다. 40개의 검은 머리통들이 일제히 책상에 눈을 고정하고 있다. 바보처럼 미련하게. 나 그 시절 책 속에 헤겔을 읽던 미서처럼, 그리고 그녀 안에 발견하지 못한 그녀처럼 말하고 싶었는지도 모른다. 
 

 ‘난 너희들과 달라’ 
 

  오만함과 자만심이 교복스커트 밑으로 뚝뚝 떨어졌다. 그때는 그녀를 이해했던 것이 아니라 나의 자만심에 그녀를 덧입혔다. 그녀의 문장들을 빌려다 쓰면서 그녀의 문장들만 바라봤다. 아픔을 상처를 이야기하던 그녀의 열등감과 힘들게 고백하던 희재 언니의 이야기를 까맣게 잊었다. 그녀가 우물 안에 던져버린 쇠스랑같이, 쇠스랑이 발등을 찍던 아픔만 기억하고 상처를 만들어준 것들을 우물 안에 놓고 달아났다.

  그리고 6년이 지난 지금, 그녀가 우물 안에 던져버린 쇠스랑이 마음에 걸리 듯, 내가 던져버리려 했던 나에게 상처를 만들어준 날카로운 모든 것들이 마음에 걸린다. 그래서 다시 그녀를, 읽는다. 그 우물 안의 쇠스랑을 그녀 대신, 내가, 집어 올린다. 그녀의 쇠스랑은 물에 삭아 너덜너덜했다. 그녀가 힘들게 고백했던 희재 언니의 죽음, 그 외딴방의 기억들. 그 기억들은 그녀가 소설을 쓰기 전까지는 다 삭아버린 쇠스랑 같았을 거다. 자루는 삭았지만 여전히 발등을 찍었던 앞갈퀴는 날카로웠겠지. 그랬다. 나는 도망치려고만 했지 이해하려 하지 않았다. 외상은 아물었지만 내상은 덧나고 덧나 짓물러 있었다.

  그녀가 좋아했던 희재 언니처럼 내가 좋아했던 J, 외톨이였던 J는 내 손을 놓지 않았었다. 대학생이 되면 넌 그림을 그리고 난 글을 쓰고, 작업실을 빙자한 자취방을 얻자고 했다. 서로의 잠버릇을, 음악과 책을. 그래 희재언니의 선반위에 놓여있던 자주색 하이힐처럼 기억하자고. 외딴방이 아니라 ‘아반도네’라는 멋진 이름까지 붙이자며 웃었다. 연습장에 우리의 외딴방을 상상해 그리던 J는 행복해 보였다.
다른 아이들의 속삭임, ‘J는 우리와 다른 아이야.’ ‘자살시도까지 했었데’ ‘쟤, 지금 쇼하는 거야.’
나는 그녀처럼 어쩔 수 없다고 말하면 용서받을 수 있을까? 그녀가 문을 걸어 잠근 그 외딴방처럼 나도 J를 외딴방에 밀어 넣고 문을 잠갔다. 쇠스랑으로 발을 찍히고 너무 아파서 뺄 수도 없는 아픔은 이런 것일까.

  그녀의 소설을 읽으면서 실제인지 픽션인지 구분 짓기도 힘든 글을 고해성사처럼 받아들이면서 나는 수도 없이 J를 생각했다. 내 리뷰도 수필인지 리뷰인지 구분 짓기 힘든 글을 누군가 고해성사처럼 받아들일 수 있을까?

  어린 여공의 감당할 수 없던 사회적 상황도, 전화를 걸어오던 하계숙의 물음도, 새를 찍고 싶은 꿈을 가진 외사촌도, 가발을 쓰고 학원에서 강의를 하던 큰오빠도, 눈동자에서 최루탄 냄새가 나던 셋째 오빠도, 글을 읽지 못해 늘 같은 페이지를 펴두던 엄마도, 그리고 결국엔 아프게 토해냈던 희미한 웃음을 가진 희재 언니도,

  내가 감당하기 힘들었던 입시상황도, 전화를 걸어와 J를 험담하던 아이들의 이야기도, 대학에만 가면 모든 것이 좋아질 것 같다던 꿈을 가진 반 아이들도, 밥을 드시다 뱉어낸 어금니를 바라보던 아빠도, 늘 아침밥을 먹이기 위해 새벽에 일어나신 엄마의 뒷모습도, 그리고 결국엔 행복하게 아반도네를 그리던 J도.

  모두, 이젠 외딴방에서 J를 데려온다.
그리고 빈 외딴방에 삭아버린 쇠스랑을 조용히 벽에 걸어둔다. 그녀와 희재언니가 머리를 자주 부딪치던 자주색 하이힐이 놓여있던 선반 옆에.

  누구나 이 소설을 읽으면서 우물에 던져버렸던 자신의 아픈 기억을 끄집어 올렸을 것이다. 그리고 깊은 우물 냄새가 나는 상처를 들여 다 봤을 것이다. 환하게 떠오르는 아픔이란 저 밑에서 고요히 고여 있는 우물물처럼 짙다. 그 짙음을 희석해주는 소설이라고 나는 말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