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신
마르크 함싱크 지음, 이수영 옮김 / 문이당 / 2009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나는 어렸을 때부터 사회나 역사 과목은 젬병이었다. 시대 순으로 쭉 나열해 놓고 외우라고 하는 과목 따위는 넌더리 나도록 싫어했다. 학창 시절 그렇게 싫어해서 쳐다도 보기 싫어했던 분야를 나이가 드니 왠일인지 자꾸 궁금증이 일고, 공부하고 싶어진다. 이제서야 철이 드는지 역사소설도 읽고, 문헌도 조금씩 찾아 보고 있다. 그러던 중 충신이 눈에 띄었다. 아무리 역사를 몰라도 뒤주에서 굶어 죽은 사도세자 이야기는 어떻게 기억하고 있었나 보다..

 

충신.당연히 우리 나라 작가가 쓴 작품일 것이라 생각했는데 충신의 작가는 벨기에인이다. 일곱 살때 벨기에로 입양되어 한국에 대해서는 전혀 모르고, 관심도 없었던 작가는 직업의 특성상 우연찮게 영조시대의 역사에 대해 연구하게 되었다고 한다. 거짓을 진실로 알고 있는 우리에게 일침을 가하기 위한 누군가의 조처였을까? 하는 허황된 생각을 해 본다.

 

 영조 말 삼정승 자살사건 그 비밀의 기록.

 정승이라면 나라에서 가장 큰 일을 하는 사람들이 아닌가? 우국지사로 열심히 나라를 돌봐야 할 이들이 세 명이나 자살을 했다니 비통하고 궁금한 마음에 바로 책을 펼쳐 들었다. 이야기는 세 정승이 한 자리에 모여 사도세자의 건강을 걱정하는 부분에서 시작된다. 그 이야기를 우연히 엿들은 이천보의 아들 이문원이 양아버지의 고충에 마음 아파하고 있는 중 이천보의 심부름을 가게 된다. 친구들과 심부름을 가던 중 만나기로 한 사람의 주검을 발견하게 되고, 그 사람의 사인을 파헤치는 것으로 이야기는 전개된다. 사도세자를 죽음으로 몰아 넣기 위해 배후에서 조정하는 가족과 신료들의 이야기, 자신과 자녀들의 입신양명을 위해 사주와 살인을 일삼는 신하들의 이야기에 치가 떨리는 것을 느낄 수 있었다.

 

 과연 우리가 학교에서 배우는 역사가 100% 진실일까? 우리가 어렴풋이 그럴 것이라 생각하는 것들이 과연 올바른 것 일까? 자신의 사소한 잘못도 숨기고 싶어하는 것이 사람 마음인데, 나라의 녹을 먹는 신하들이, 한 나라의 흥망성쇠를 책임지는 임금이 자신의 잘못을 만천하에, 그리고 후세에 알리는 일을 과연 기록하게 했을까 하는 의문이 남는다. 욕심많고, 족보를 따지는 왕족들이 자신의 행적을 역사에 올리는 일을 수수방관하고만 있지는 않았을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실록이든, 역사 소설이든 두루 읽어 여러 관점에서 생각하는 습관을 길러야 겠다. 내가 모르는 우리의 역사를 남에게 떳떳하게 말할 수는 없는 노릇이니 내가 공부해야 하겠다. 생각의 거리를 안겨 주는 이 책을 많은 사람들이 한번쯤 읽어 봤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