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깥은 여름
김애란 지음 / 문학동네 / 2017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소설뿐 아니라, 책을 보다 보면 다음 작품을 기대하게 만드는 작가들이 생기기 마련이고, 소위 작가 이름만으로 작품을 고르게 되는 때가 있다. 김애란의 소설집 바깥은 여름 또한 그러한 경우였고, 김애란은 비행운에 이어 또다시 보기 좋게 날 휘어잡았다.

단편 소설은 너무나도 심하게 취향이 많이 갈리는 장르이다. 모든 작품이 고르게 맘에 들 리도 만무하고, 호흡이 짧다 보니 작품이 주는 여운도 짧은 게 대부분이었다. 그러던 나의 편견을 깨어준 첫 번째 작품이 쇼코의 미소였고, 그 후로 적어도 한국 단편 소설은 편견 없이 보게 되었다. 꼭 편견 없이 봤다고 해서 김애란의 이 소설이 좋다는 게 아니다. 내가 이 단편을 이토록 좋아하는 것은, 작가가 오롯이 한 주제를 관통하는 이야기로만 모아놨기 때문이다. 따라서, 단편임에도 불구하고, 호흡이 이어지고, 연속성이 있는 이야기로 읽혔다.

우연의 일치이지만, 바로 전에 읽은 책이 똑같은 ‘상실‘을 다룬 환상의 빛이라는 소설이었으므로, 나는 같은 주제의 완전히 다른 문체의 중/단편 10편을 읽는 경험을 했다. 김애란의 글은 너무나도 쉽게 읽히어, 보다 더 빠르게 읽어나갈 수 있었지만, 쇼코의 미소를 읽을 때와 마찬가지로 그러고 싶지 않았다. 한편 한편 여운이 오래갔고, 그것을 깨고 싶지 않았으므로, 구태여 읽으려 들지 않았다. 상실감에 대한 공감, 동조 등이 사라질 때쯤, 다시 한 편을 읽어나갔고, 그렇게 전부를 읽어냈다.

그럼에도 사람인지라 어느 작품이 가장 좋았냐고 묻는다면, 나는 압도적으로 입동이었다. 입동이 주는 감정의 동요가 가장 컸다.

문학동네의 한국소설 표지 디자인은, 말해 입 아픈 수준이다. 김애란이 말하길, 원래는 표지가 창문이었는데 문이 좀 더 적절할 것 같아서 바꿨다고 한다. 정말 바꾸길 잘 한 것이다. 다만, 문의 사이즈 때문에 책을 꽂아놨을 때 제목에서 ‘름‘ 이 잘 안 보이긴 하지만, 그런들 어떠하리. 이쁘면 장땡이다.

이제 김애란의 장편을 기다릴 때인가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환상의 빛
미야모토 테루 지음, 송태욱 옮김 / 바다출판사 / 2014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일본 소설이 가지는 특유의 감정선이 있다고 늘 믿어왔고, 그 믿음이 반드시 틀리지만은 않았다고 말해준 책이다. 4편의 중/단편이 모두 상실을 다루는데, 재밌게도 이 책과 동시에 읽는 중인 김애란의 바깥은 여름도 상실을 다루니 바야흐로 상실의 시대에 살고 있는 바다. 이 소설의 가치는 다른 것보다도 표제작인 환상의 빛이 지니는 매력이다. 그뿐인 줄 알았건만, 밤의 벚꽃도 실로 대단하다.

이제껏 표지엔 민감해왔지만, 내지엔 둔감했던 나조차도 내지의 질 차이를 느낄 정도로 아쉬운 감은 있다. 물론, 값이 싸지만, 양장본으로 엮은 것 자체도 내구성에 대한 불안이 있을 정도이니 책장 한켠에 소중히 넣어둘 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영원한 제국 - 개정판
이인화 지음 / 세계사 / 2006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참으로 안타깝다. 이인화가 류철균이 아니길 바랐다. 이토록 좋은 작품을 써낸 그 사람이, 당대 권력 투쟁에 아무런 힘없이 휘말린 인몽을 그려낸 사람이 그러지 않았길 바랐다. 그도 그렇게 휘말렸는지, 자발적으로 들어간 건지 모르겠으나, 그랬으면 안됐다. 더 이상 이 책을 추천할 수 없어 안타깝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프랑스 대통령의 모자
앙투안 로랭 지음, 양영란 옮김 / 열린책들 / 2016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개인적으로 프랑스 작가에 대한 아주 긍정적인 선입견이 바탕이 되어 구매하게 된 책이다. 심지어, 표지는 어찌나 맘에 들던지. 겉표지를 벗겨내면 훨씬 더 이쁜 하드커버가 나타난다.

머리에 쓰는 모자로 바뀌는 사람들의 태도에 관한 즐거운 이야기다. 쉽게 읽히되, 쉽게 버릴 이야기는 아니다. 염교에 절인 굴을 먹고 싶게 만드는 이야기. 참으로 흥미로운 모티브와 상징의 가벼운 맛보기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넛셸
이언 매큐언 지음, 민승남 옮김 / 문학동네 / 2017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햄릿을 제대로 읽지 않았다면, 이 소설의 참된 가치를 이해하기 어렵다. 뿐만 아니라 이 소설 안에는 수많은 영국문학이 넘쳐 흐른다. 심지어 번역이 친절하지도 않아서, 딱 이안 매큐언의 언어를 한글로 바꿔 놓은 정도이다. 그저 to be or not to be의 모티브! 정도 알아선, 무슨 내용이야 싶은 소설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