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이 된 심리학 - 자아 숭배라는 이단을 고발한다
폴 비츠 지음, 장혜영 옮김 / 새물결플러스 / 2010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하! 나는 전문가도 아니고 심리학과 정신분석의 차이를 잘 모른다. 

하지만 이 책을 읽고 , 또 내가 이 책을 선택한 동기를 생각하며 감히 그렇게 제목을 적어본다. 

요즘처럼 너도 나도 외면못지않게 내면을 관리하려하고 또 내면을 이해하려고 애쓴 시대가 또 있었을까 싶을 정도로 사회의 모든면에, 인간관계의 모든면에, -저자의 정의 대로라면-자아중심의 심리학이 깊이 내재되어있는것이 사실인것 같다. 

나또한 힘들때 지칠때 누군가 미울때 심히 괴로울때 이들의 도움을 받았음을 부정할수는 없다. 

한편, 흔히 상담학? 또는 심리? 이런 논리를 정신과 의사들은 매우 뚱한표정으로 바라본다는 것도 좀 느껴오던 참이었다. 

그 이유가 무엇인지를 이책을 통해서 알게 되었고.. 

막연히 느껴오던 심리학의 미흡함, 자기성찰보다 남탓으로 돌려버리는 듯한, 그래서결코 끝나지 않을 상처들, 또 아픔들, 이세상에 진실과 정의는 없고 존중과 배려만이 있어야 할것만 같은 불안함의 정체를 이 책을 통하여 조금, ㅋㅋ 알게 되었다. 

몇달전 서울대 의대교수가 '한의학은 과학적이지 않다'라는 발언을 하여 항간에 매우 시끄러웠던 기사가 생각난다. 

논리적으로 생각해 보지 않고 즉답하는 많은 사람들은 그 의대교수의 말을 '한의학은 치료효과가 없다'는 말로 오해했다. 

'과학적이지 않다' 와 ' 치료효과가 없다'는 매우 매우 다른말이다. 

이 책또한 자아중심의 심리학이 치료효과가 없다고 말하지는 않는다. 오히려 치료효과가 있었던 많은 사례들을 실었다. 하지만 과학적이지 않다는 말로 풀어보고싶었던 것이라 생각한다. 

우리는 과학의 의견을 매우 존중하는 듯하면서도 과학적인것이 무엇인지 잘모르고 있는것 같다. 

이와같이 철저한 과학자(저자, 의사 등..)의 솔직한 이야기가 즐겁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주님은 나의 최고봉 (보급판 문고본) - 오스왈드 챔버스의 365일 묵상집, 토기장이 고전시리즈 02 오스왈드 챔버스 시리즈 2
오스왈드 챔버스 지음, 스데반 황 옮김 / 토기장이(토기장이주니어) / 2009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아마도 나를 포함하여 많은 사람들이  이 책을 그 책때문에 사게 되었을 것이다. 

'그 청년 바보의사'   ^^ 아니면 말고... 

역시 고전에는 고전의 향기가 있다. 

기독교계에 꾸준히 이어져오고 있는 큐티의 열풍은 바로 여기에서 부터 시작되었다고해도 과언이 아닐정도로 잘 정돈된 매일매일의 양식이다. 

매달 주제별로 꾸려져 있는데 어느날 펼쳐보아도 나에게 딱맞는 말씀과 주옥같은 설교가 가슴을 때린다. 

유행에 휘둘리지 않으며, 자신을 담금질하는, 오직 말씀, 오직 믿음, 오직 주님과의 친밀감유지, 신앙의 향기가 넘치는, 늘 함께 하고 싶은 책이다. 

제목의 번역이 조금 진부하다는 느낌이 드는것은 좀 섭섭한 느낌~ 하지만 아주 오래된 느낌의 영어를 번역한것을 고려하며 용서할수 있는 정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굿바이, 게으름 - 게으름에서 벗어나 나를 찾는 10가지 열쇠, 개정판
문요한 지음 / 더난출판사 / 2009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남들은 나보고 게으르다고 하지 않는데 나는 나를 게으르다고 생각한다.

그 게으르다는 말에는 수동적이라는 의미가 포함되어있는 것 같다.

그래서 이 책은 한국판, 또는 정신심리학판, '긍정의 힘'이라고 말하고 싶다.

게으름과 여유, 수동적과 적극적 사이에서 나를 북돋으며 진정한 기쁨과 진정한 인정받음에 도달하게 하는 기술이 탁월한 책이었다.

내가 나태해질때 종종 읽고 싶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한국의 꽃그림 서문문고 321
노숙자 지음 / 서문당 / 2000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유난히 여자들이 꽃그림을 좋아하는 이유는 뭘까?

나이가 들면 여자들은 꽃그림이 그려진 옷도 많이 입는다.

꽃처럼 울긋불긋한 색채의 옷도 더 찾게 된다.

흔히 좀 수준있는 사람들, 그림을 좀 안다는 하는 사람들은 꽃그림을 좀 유치하게 치는 것 같은데, 내가 본능적으로 느끼는 꽃그림에 대한 호감의 근거를 좀 알고 싶었다.

꽃그림을 많이 그리고 또 그 과정을 이야기로 엮은 이 책이 매우 사랑스럽게 느껴진다.

그래서 나의 모든 궁금증이 해결되지는 않았지만, 특히 여자의 꽃그림은 남자의 꽃과 다른 본능적인 냄새가 난다.

꽃그림에 대한 호감은 저급함도 아니고 유치함도 아닌 본질에 충실한 것의 표현이 라고 생각된다.

그림이 좀 더 크게 볼수 있게 책이 만들어졌으면 훨씬 좋을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는 꽃과 나비를 그린다 - 바로크 시대의 곤충화가 메리안의 일생
나카노 교코 지음, 김성기 옮김 / 사이언스북스 / 2003년 6월
평점 :
절판


이 글을 읽으면서 내내 신사임당이 생각났다.

그 즈음 고액권 지폐에 신사임당이 들어가는것에 대해 논란이 많았던 탓이기도 했겠다.

그 당시 관심밖에 있었던 여성 화가로서, 또 곤충학자로서 주인공의 삶이 흥미로왔다.

그녀의 그림의 도감을 연상시키는 세심한 방식과, 또 색채와 크기 변형등 예술적인 면이 독특하다는 생각이들었다.

한편으로는 그녀의 그림들이 포트메리온 식기에 그려진 그림과 매우 비슷하여 서양의 생물을 보는 눈이 갖는 공통점을 발견하게도 되었다.

반면에 신사임당이 그렸던 식물과 곤충등도 떠올랐다.

색채가 절제되고 구도가 훨씬 균형잡힌 작품들이라는 생각이들었다.

지폐에 신사임당 얼굴이 들어간다하니, 변화된 시대에 맞게 신사임당의 생애와 그림에 대해서도 재발견하는 책이 나왔으면 좋겠다.

신사임당이 그렇게 답답한 현모양처(현대에는 부정적으로 느껴지는 의미의)는 아니었다고 생각한다. 그간의 남성중심적인 역사가들이 그런 부분만을 부각시켰을 뿐....

우리에겐 신사임당이 있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