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과학의 망상
루퍼트 셸드레이크 지음, 하창수 옮김 / 김영사 / 2016년 4월
평점 :
절판
이번에 읽은 책은, 출판되었을 때 바로 읽고 싶다 생각했던 책 '과학의 망상'이다.
과학에 대한 논쟁이 얘기될 때 반드시 얘기되어야 할 여러 사항을 제대로 직시해 설명 하고 있고, 특히 유물론(물질주의)를 배격하는 여러 이야기들을 전개한다. 이는 과학을 하고 있는 내 입장에서도 아주 속시원한 점들이라 특히 재미있게 본 부분이다.
나중에 이야기를 하겠지만, 물론 강력한 논지 전개 과정에서 필히 발생될 만한 디테일의 소실이나 상대 의견의 과한 재단화는 약간씩 있으나, 충분히 이야기를 해 봄 직한 이야기들이 전개되기에 아주 유의미한 이야기라 할 수 있다.
예쁜 색의 표지를 시작으로 리뷰를 시작해 보고자 한다.

일단, 이 책의 저자에 대해 확실히 알고 가는게 아주 중요하다. 루퍼트 셸드레이크 교수는 '형태발생장'이론 으로 상당히 주목을 받은 생물학자다. 이 이론은 과학계에서 아직 큰 반발이 있긴 하나 유의미한 논쟁들을 여럿 낳았고 지금도 과학의 여러 부족한 부분들을 엎는(?)시도들이 이 이론 근처에서 많이 일어난다.

자 이 책의 내용을 스포일러 하진 않겠으나, 이 책이 배격하는, 혹은 고쳐줄 과학자들의 열 가지 핵심적인 신념이 있어서 일단 찍어 두었다.
이 책은 지금 아래의 사진 바로 뒤 쪽으로 과학-종교-권력 간의 상관관계에 대해 이야기를 하는데, 그 이야기도 재미있지만 이 이후 각 장에서 나오는 각각 번호별 맞춤 이야기들이 아주 재미있다.
아쉬운 점은, 현 과학계의 젊은 층들은 이미 저 10가지의 생각에서 벗어난 유연한 사고를 하는 이들이 많다는 점이다. (최소한 내가 느끼기에 ㅎ) 하지만 그래도 과학계의 고루한 유물론에 대한 맹신은 일정부분 있다고 나도 느끼기에, 이 책의 논지를 따라가며 읽었다.

이 책에서 다뤄지는 내용들은 아주 방대하고, 특히 유물론, 이 책에서 물질주의로 대표되는 유물론적 시각에 대해 꽤 날카로운 질문들을 남긴다. 내가 재미있게 보았던 부분이라 사진에 남겨 두었는데 아래와 같다.
사실 유물론적 세계관의 한계는 결국 결국 system을 설정하는 과학자들의 한계가 맞닿을 수 밖에 없고 그 점을 찔러 들어온다. 특히 이런 것들을 은유로 볼때 왜 '은유'로 생각하는지를 짚는데 나로서도 궁금하고 대답은 어떻게 해야할지 여러 생각들이 지나가는 지점이다.

<과학의 망상>은 또 재미있는 편집점이 있는데, 각 장을 요약해서 이야기 한다는 점이다. 대개 이런 의견개진의 책은 요약하기가 어렵다. 그 근거들이 길고 그런 걸 바탕으로 논지를 이야기 하다보니 줄이려 하면 요약에서 오는 오해가 생기기 쉬우니까. 그래서 요약 장을 넣어 놓은 것이 내게는 일종의 '패기'라고 보여졌다. 물론 작가분 본인이 또 한 패기하는 걸로 유명한 분이기도 하고.
아래의 사진은 그 요약 중에 정신이 진짜 뇌 안에만 있는가에 대한 장인데, 요약에 나온 것 대로 우리의 알수없는 six sense에 대한 이야기로 현재 보이는 것 만을 진실이라 생각하는건 큰 착각임을 짚는다.
나는 우습게도 이 장을 읽으며 '체화된 인지'가 같이 떠올랐다. 우리 인간이 마찬가지로 생각하는대로 행동하듯, 행동하듯 생각할 수도 있다는 건데 더 나아가서 그렇게 할 수 있는 이유가 정신이 뇌가 아닌 공간적인 맞닿음에서 온 건 아닐까 라는.. 허황되어 보이면서도 이야기 해봄직한 토픽이 아닐까 생각해 본다.

여기서는 또 과학계의 문제 부분, 나도 아주아주 적극 동감하는 부분에 대해서도 짚고 넘어간다.
특히 peer review 등을 짚고 넘어가서 내 속이 다 시원했다 ㅎㅎ

이 장을 한 문장으로 줄인다면, 과학계는 아직 풀어야 할 구조적인 모순이 많다! 라고 할 수 있고 그 대표적인게 위의 3가지라 할 수 있단 것 ㅎ
과학의 망상은, 꼭 과학을 하는 사람이 아니어도 그 기술적 혜택도 함께 하고 있는 세상에서 사람들이 읽고 새로운 시야를 가지게 해 줄 만한 책이다. 우리나라에 번역되어 들어와 상당히 기쁘기도 하고 ㅎ
나도 내 근처의 친구들을 읽힌 후 토론해 보고 싶은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