튜브
손원평 지음 / 창비 / 202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실패한 내 인생도 다시 떠로를 기회가 있을까?" 


"인생의 전환점이 필요한 분들을 위한 단 한 권의 책을 처방해 드립니다."


정말? 과연 그럴 수 있을까? 그러면서도 내심 그럴 수 있었으면, 그래야 한다는 절박함으로 선택한 『튜브』


손원평 작가가 늘 그렇듯 주는 따뜻한 위로와 희망이 들어 있을 거라는 막연한 기대감..


정말 너무나 힘들고, 힘들어서 힘들다는 소리조차 못하는 그런 나날에 실낱같고 지푸라기같아서 꼭 읽어보고 꼭 내가 거기서부터 힘이 되어 새로운 전환점을 찾고 싶어서 읽은 『튜브』


김성곤이 안드레아라는 이름으로 불리며 느낀 삶에 한줄기 자유로운 바람이 불어드는 것 같이, 제발 제발 내 삶에도 안드레아로 불리는 것을 꿈꾸며. 내 어린 시절도 가히 그리 편안했다고만 할 수 없는 그 힘들고 어려운 그런 마음에 홀씨처럼 붙어서 꽃으로 안착하기를 기대하며..

내가 나인 것을 영원히 부정하고 버릴 수 없을 것이라는 사실은 자명하기에 안드레아라는 이름과 함께 반쯤 하늘을 날다가 다시 현실에 발붙인 김성곤으로 언제든 돌아올 수 있게, 김성곤 안드레아로 소개하는 현실처럼...


내가 나인 것을 아니라고 할 수는 없다. 그것이 내 존재이기에.. 하지만 안드레아라는 이름같은 숨통 하나쯤은 있어야 그 힘듦을 한줄기 자유로운 바람..

숨이 턱턱 막힐만한 기가막힌 어린시절을 어찌저찌 보내며 세상 홀로 핀 잡초마냥, 잡초보다 강하지도 못하게 컸는데, 중년에 겪은 가족을 읽은 슬픔.. 그리고 사람.. 관계에 대한 고통으로 인해 괴로운 감정이 커가는 나의 슬픈 生..!!


그래도 지금은 슬프다...라고 말할 수 있을 정도는 되는 이 시점


처량하고 처연하다는 표현이 맞을 정도로 아프고 슬프고 그런 내 삶.

어느 여배우가 그랬다. 아프지 않은 삶이 어디 있겠냐고. 아쉽지.. 내 인생이니까 아쉽지..

십여년 전에 들었을때도 가슴에 콕 박히더니 이제 이 시간이 되어 보니 뽑히지도 않게 박혀 있다.


  • 김성곤은 작은 결심을 다졌다. 자세를 바르게 하는 걸 지상과제로 삼기로. 모든 걸 다 잊고 오로지 그것 하나만을 목표로 삼겠다고 말이다. 그 시시한 다짐이 결과적으로 과감한 여정의 첫발자국이라는 걸 그로선 아직 알 길이 없었다.
  • 나같은 경우에는 작은 결심으로 '그럴 수 있다'라는 생각을 갖자였다. 하지만 마주 대할 자신이 없어 피하고, 나를 무시하는 손길과 눈길에 공포와 환멸을 느끼며 그렇게 하루하루를 버텨왔던 것 같다.
  • 그래서 저 부분을 읽어 내릴 때 과연 나의 과감한 여정의 첫발자국은 무엇일까? 자구 되내였다. 아직도 덤덤하지 못한 나를 보는 혐오의 눈길을 벗어나기 위해 내가 해야 할 첫발자국을 내가 내딛었는지 아닌지는 알지 못하지만, 지난 후에야 더욱 명확하게 떠오를 것만 같았다.
  • 생각의 스위치는 끄고 세상을 그대로 바라보세요. 우린 항상 무언가를 판단하느라 에너지도 감정도 너무 많이 쓰고 있잖습니까. 그러다보면 자꾸만 소모적인 생각이 날아들고 세상을 그대로 바라보거나 이해하지 못하게 돼요. 생각이란 건 자신만의 선글라스 같은 거니까요. 그러니까 생각의 스위치부터 꺼야 하죠. 그다음은 쉽습니다. 낙엽은 낙엽으로 보고 전봇대는 전봇대로 보는 겁니다. 빨간 건 빨갛게 노란 건 노랗게 받아들이면 되죠.


    내가 하고 싶은 과감한 여정의 첫발자국이 과연 무엇일까 맴돌다가 저 구절을 읽고서 아!라는 탄식을 하고 말았다. 생각의 스위치를 끄고 세상을 그대로 바라보는 것. 에너지와 감정을 쓰다가 세상을 그대로 바라보거나 이해하지 못하게 되는 그런 악순환. 내 인생에 가장 많은 오류가 발생하는 원인을 알게 된다. 


    나의 첫발자국은 생각의 스위치를 끄자. 에서부터 시작점이다.


  • 정말 변하고 싶은가. 조금이라도 다른 사람이 되고 싶은가. 누군가의 고요한 응원을 받으며 자신만의 아름다운 궤적을 그려나가고 싶지는 않은가. 새로 태어난 것처럼, 자기 자신을 깨부수고 나오고 싶지는 않은가.
  • 네가 작은 행동이나 습관들을 바꿔나가고 그렇게 해서 네 생각이 바뀌고 나아가서 인생도 바뀐다면 믿겠니?
  • 그냥저냥 살만하다고 느끼며 살던 시절에는 그렇게 와닿지 않을 이야기가 내가 죽을만큼 힘든 일을 겪고 나니까 한줄기 문장에도 집착하며 위로받고 싶어 한다는 것을.
  • 뭐든지 한번에 한가지씩만 하는 겁니다. 밥 먹을 때 먹기만, 걸을 땐 걷기만, 일할 땐 일만, 그렇게 매 순간에 충실하게 되면 쓸데없는 감정 소모도 줄일 수 있게 됩니다. 매 순간에 충실하자.
  • 작가는 말한다. 삶도 그랬다.인생에는 더러 반짝이는 순간도 있었다. 하지만 대체로 삶은 어둡고 차갑고 깊이를 알 수 없는 수렁 같았다. 
  • 나는 이제 수렁에서는 벗어난 것 같다. 다는 아니다. 밥이 단걸 보니 그렇다. 다시는 먹지 못할 것 같은 삶도 그렇게 평온을 찾아간다. 이게 정상인지 뭔지는 모른다. 그렇더라도 나는 이제 한번에 한가지씩만 하며 생각의 스위치를 끄기로 마음 먹는다.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