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물이란 무엇인가 태학산문선 102
심노숭 지음, 김영진 옮김 / 태학사 / 2006년 5월
평점 :
품절


눈물은 어디에서 나오는가?”

누군가 이렇게 묻는다면 나는 눈물샘에서 나온다고 답할 것이다. 지극히 상식적을 말이다.

그런데 조선 후기를 살다간 감성적 문인 심노숭(沈魯崇, 1762~1837)은 눈물이란 화두를 놓고 사색의 나래를 편다. 우선 눈물이 눈에서 나오는 것인지, 마음에서 나오는 것인지 짚어 본다. 그리고는 마음을 땅에, 눈을 구름에, 눈물을 땅과 구름이 감응해서 내리는 비에 비유한다. 또 눈물이 나오는 것은 곡하고 곡하지 않음이나 제사를 지내거나 지내지 않음에 있지 않고 산 자와 죽은 자의 감응에 있다고 결론을 내리고 있다.

눈물에 대해 감상적인 사색이 담긴 이 글을 쓴 때는 심노숭은 사랑하는 동갑내기 아내를 잃은 지 얼마 되지 않아서다. 생각해 보면 아내를 생각하는 절절한 마음이 느껴짐과 동시에 보통 사람 같으면 다른 경황이 없을 때에 깊은 사색을 거쳐 빼어난 글을 남기는 문인의 삶을 마주할 수 있다. 문인에게는 인생사의 모든 것이 문학의 소재인 것이다.

옮긴이가 심노숭은 자신이 지나온 삶의 자취가 춘몽처럼 스러질까 봐 76년 인생 역정을 집요하리만큼 꼼꼼하게 기록해 놓았다라고 머리말에서 밝히고 있듯이, 심노숭은 문집 효전산고’ 58(유배일기 20책 포함), 집안 선조들에 대한 기록인 적선세가’ 8, 야사총서 대동패림’(현존본 136) 등을 남겼다. 5백 권짜리 여유당전서를 쓴 정약용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그래도 좀처럼 찾아볼 수 없는 다작이다.

이러한 왕성한 창작에는 시대적인 배경과 자신의 불운도 한몫을 한 것 같다. 부친인 심낙수가 정조시대에 당파싸움에 가담했다가 정치적으로 큰 시련과 고통을 겪었고, 그 영향으로 자신의 앞날에 눈부신 태양이 비치는 것을 기대할 수는 없었다. 그렇지만 주류 사회에 나서지 못했기 때문에 오히려 더 정확하고 예리하게 시대를 통찰하고 논할 수 있었으며, 재기발랄하고 감상적인 자신만의 단단한 성을 쌓아 올릴 수 있었을 것이다.

아내를 잃고서 2년 동안 무려 26편의 시와 23편의 산문을 남긴 것은 우리 문학사에서 유래가 없는 일이라고 한다. 더구나 풍속이 두려워 아내를 잃은 슬픔을 숨기는 그 시대에서 이처럼 구구절절이 아내를 잃은 슬픔을 글로 남긴 것이다. 오늘날을 사는 부부에게도 부부관계의 무게와 소중함을 되새기게 하는 대목이다.

책을 읽으면서 어렵게 느껴지는 부분이 군데군데 있었다. 고전이나 문학사에 대한 무지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그런 점에서 옮긴이도 고전이나 문학사에 대한 좀더 충분하고 친절한 해설을 곁들여주면 좋을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