킹콩을 들다
영화
평점 :
상영종료


이런 식으로 눈물을 이끌어낸다면 대환영. 순박하고 서툴어도 역도를 꼭 닮은 영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감도
영화
평점 :
상영종료


화려하지만 실속 없는 만찬. 양이 곧 질은 아니다. 애피타이저만 봐줄만 했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물좀주소 - Thirsty, Thirsty
영화
평점 :
상영종료


  얼마 전에 개봉한 <똥파리>가 찐득찐득한 욕설과 함께 폭력의 굴레를 보여줬다면, <물 좀 주소>는 지긋지긋한 돈의 굴레를 보여주는 영화다. <똥파리>와 달리 이 영화는 투박한 면이 없지 않지만 착하고 밝은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영화 속에는 각각 어울리지 않는 위치에 놓여있는 인물들이 등장한다. 채권추심원으로서 신용불량자들을 독촉하는 구창식은 선한 눈을 지닌 사람이다. 그 또한 빚을 지고 있어 사채업자들에게 쫓긴다. 갓 스무살을 넘긴 앳된 외모의 선주는 미혼모로 혼자 아이를 키우고 있다. 현실은 신용불량자로 쫓기고 있지만, 선주는 발레리나를 꿈꾼다. 구창식에게 빚을 받아내려는 사채업자 직원 심수교는 곱상한 외모와 말투 덕에 매번 구창식에게 무시당한다. 그는 어느 곳에서도 취직되지 못한 젋은이로 유일하게 자신을 받아준 사채회사에서 인정을 받아야 한다. 구창식이 빚 독촉을 하는 조 사장은 직원들이 따르는 선한 사장님이자, 한 가정의 아버지지만 돈을 갚을 방법이 없다. 

  이 영화는 뭔가 자신의 위치에 어울리지 않는 이 사람들이 서로 쫓고 쫓기며 돈에 목말라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구창식이 늘 집어먹는 빙과제품으로 더위와 갈증이 해소되지 않듯, 돈에 대한 갈증은 쉽게 해소될 모습을 보이지 못한다.  

  그럼에도 영화 속 인물들은 돈 때문에 인간성을 버리지 않는다. 사채회사에 쫓기던 구창식은 조 사장 딸의 결혼식에서 조 사장 가족에게 망신을 주며 억척같이 축의금 봉투를 챙기고, 심수교는 마지못해 구창식에게 칼을 겨누고, 조 사장은 딸의 파혼에 대한 분노로 구창식을 칼로 찌르지만 거기까지다. 어쩔 수 없는 궁지 속에서 인물들은 인간성을 포기하지만 이내 다시 본연의 모습으로 돌아온다. 자신의 사정도 어려우면서 선주에게 호감을 갖고 어려운 사정을 챙겨주려는 구창식. 어렵지고 힘들지만 밝고 명랑한 선주, 피를 흘리는 구창식을 보며 아연실색하며 죽지 말라고 외치는 심수교, 자신의 잘못을 자책하는 조 사장, 그리고 이 모두를 원망하지 않는 구창식의 모습은 꽤나 투박한 이 영화가 담고 있는 진정성의 모습을 보여준다.  

  모두가 어렵고 힘든 시기라도, 돈이라는 숫자와 종이의 무게 더미에 눌리더라도, 뻔뻔하게 명랑하게 아무렇지 않은 듯 이를 견디고 웃는 법을 이 영화는 꾸밈없는 목소리로 말하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트랜스포머 : 패자의 역습 - Transformers: Revenge of the Fallen
영화
평점 :
상영종료


2년 전의 신선함은 어디로 간걸까? 화려하지만 단조로운, 샘과 옵티머스만의 이야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여고괴담5 - A Blood Pledge
영화
평점 :
상영종료


  여고생과 귀신의 첫만남은 너무나 신선했다. 자유롭지 않고 통제에만 힘쓰는 학교, 갓 피어난 잎새같은 소녀들의 감수성, 그리고 귀신. 딱히 새롭다고는 할 수 없지만, 그 새롭지 않은 이야기들이 스크린에 옮겨졌을 때 자아내는 공포는 단순함 무서움이기에 앞서 먹먹한 슬픔이기도 했다.   

  어김없이 올 여름에도 교복을 입은 소녀들이 찾아왔다. 벌써 다섯번째다. 소녀들은 세련되었지만, 영화는 밋밋하다. 공포를 말하려는 것인지, 학교에 대해 말하려는 것인지 어중간하기만 하다. 붉은 벽돌의 아름다운 교정에 빨간 피를 범벅한 채 긴장감을 자아내는 음악과 함께 등장하는 귀신이 있지만 그 뿐이다. 이는 신인급 연기자들의 어설픈 연기 때문만은 아닌 듯 하다. 그보다는 인물들의 심리를 섬세하게 따라가지 못한 이야기가 더 큰 것 같다.  

  나쁜 어른이라고는 폭력을 휘두르는 은영의 아버지와 자식의 잘못을 두둔하는 기호의 어머니, 단 두 명만이 존재미미하게 등장할 뿐이다. 오히려 학교 선생님들은 지극히 존재감 없이 학생들을 위하는 사람들로 그려진다. 소녀들은 어른들의 개입이 없는 자신들만의 세계 안에서 자신들만의 무리를 만들어가며 편가르기를 한다. 친한 친구 서너 명이 어울려다니며 다른 친구들을 배척해나간다. 그리고 한 학생이 자살하면서 학교에는 없는 말이 만들어지며 흉흉한 소문이 돈다. 여기까지는 그래도 납득할 수 있었다. 

  문제는 인물들 중에 어느 하나도 심리가 설득력있게 그려지지 않았다는 점이다. 유진은 왜 열쇠에 집착하는지(또 학교는 왜 이과 1등이 아닌 문과 1등에게 열쇠를 맡기는지), 은영은 왜 아버지에게 맞기만 하는지, 반이 달라졌다고 해도 소이는 유진과 은영에게 붙고 언주를 멀리하는지, 언주는 왜 소이를 적극적으로 만류하지 못하고 무모하게 동반자살을 시도하는지. 네 명의 소녀 중 어느 한 명도 관객에게 설득력을 지니지 못한다. 그 설득력을 얻기 위한 원인들, 인물들의 디테일한 심리묘사와 에피소드들은 사라진 채, 행위의 결과만이 조악하게 나열되어 있다. 그 덕에 소녀들은 섬세한 감수성이 아닌 변덕과 무모함, 히스테리를 지닌 소녀들로 그려진다. 또한, 귀신에게 이끌려간 학생들은 아무도 찾지 않고, 수업시간에 자유롭게 학교 안을 돌아다니는 등 이해할 수 없는 부분들이 너무 많다.  

  잘 조합될 수 있었던, 잘 풀어나갈 수 있었던 부분들에 대해서 영화가 놓친 부분은 상당히 아쉽기만 하다. 서로가 서로에게 친구이면서 동시에 경쟁자여야만 하는 현실, 금방 친해지다가도 어느새 소원해지기도 하는 관계들, 그리고 이성교제와 임신, 자살 등등 여러가지 좋은 이야기 소재들을 담았음에도 어느 하나 제대로 살리지를 못했다. <여고괴담> 시리즈의 공포는 학교의 이야기. 그 일상성과 더불어 누구나가 공감할 수 있는 현실성에 있다. 그 가운데서만 영화는 섬뜩하면서도 슬프고, 숨막히면서도 가슴이 아린 공포를 만들어낼 수 있다. 하지만 이 영화 속에는 충동적이고 무모하면서 예쁘장한 소녀들만이 있을 뿐이다.  

  개인적으로 여고괴담 시리즈가 잘 만들어진 후속작들로 계속 이어졌으면 좋겠다. 한국에 이만한 시리즈물이 없다. 그리고 다른 공포물들과는 다른 지위를 가지고 있다. 덧붙여, 세간의 우려와 달리 투신 자살로 흉해지는 장면들을 보면 자살하고 싶은 마음이 그다지 들지 않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