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초 사고
아카바 유지 지음, 이영미 옮김 / 열린책들 / 2015년 3월
평점 :
품절


 

0초 사고를 제목을 봤을 때, 결정 못하는 현대인에게 사례와 함께 이야기가  나올 줄 알았는데, 내 생각하고 다르게 메모법에 관련 이야기 나와서  어떤 내용이 있는지 궁금했다.

 

나는 일할 때 스케줄북에 할 일을 적어놓고, 까먹을까 봐 다른 종이에 다시 적는 편이다.  적지 않고 일을 하게 되면 먼저 할 일을 하지 않고, 다른 일을 할 때가 많았다. 처음 근무할때 어떤 일을 먼저 해야 할지 몰라서 헤매는 경우가 많았다. 행사를 기획할 때가 제일 힘들었다. 무슨 행사를 할지 고민이 되어서 많은 자료를 찾다 보니 시간이 오래 걸렀다. 이면지에 많이 적기도 했는데, 그때는 준비와 어떤 식으로 할지 다른 자료와 비교해서 섰던 기억이 났다. 사실 무슨 일을 준비할때 느려서 고민이 많았다.

 

 

메모를 쓰는 법은 A4 가로로 놓고, 제목과 날짜를 쓴다. 그 다음 본문은 4-6행, 각 행20~30자, 매일 10페에지씩 쓴다. 느긋하게 생각하면 쓰면 순식간에 시간이 지나간다. 1페이지는 1분에 완성한다. p.8

 

읽다 보니 내용들이 속속히 들어있는 왔다. 메모 쓰는 예시를 보고 나도 이런 고민이 있는데 그때는 어떻게 구체화를 할지 고민이 되었고, 1페이지에 1분안에 쓸 수 있을까? 종이가 있으면 끄적끄적 적은걸 좋아하는데, 구체적으로 어떤식으로 써야 될 지 고민이 되었다.  기사 본 것 중에 화가 날때 말로 이야기하는 것 보다 글로 쓰는게 화가 난게 풀어지고, 스트레스 풀린다는 글을 봤다. 예전에 기분이 상하거나 화날때 지인들이나 많이 이야기해서 풀었는데 사실 그게 풀린게 아니라  나에게 스트레스 주는지 몰랐다. 그 기사를  보고 자제하게 되어서, 힘들거나 화가 났을때 블로그에 일기식으로 많이 작성한 것 같다. 그리고 뭔가 생각나거나 답답할때 조금만 메모지에 적거나, 블로그에 생각나는대로  작성했을때가 많았다. 사실 난 그게 나에게 도움 된거라고 생각했는데,  뭔가를 생각할 때 컴퓨터 보다 내가 직접 쓰는게 좋다는 것을  알게 되어서 좋았다. 블로그에 쓰지 못한이야기를 구체적으로 A4용지로 쓰게 되면 새로운 느낌이 들 것 같다. 사실 아이디어나 창의력이 없는 편이어서 메모법에 생각하지도 못했는데, 이번 기회에 A4용지에 써볼까  생각이 들었다. 사실 몇 페이지 쓸 자신은 없지만 꾸준히 써보는것도 나에게 좋을 것 같다고 생각이 들었다.

<메모 쓰기>는 굳은 머리를 풀어 주는 데 적합한 유연체조이며, 머리를 단련하는 손쉬운 연습 방법이다. 머리에 떠오른 의문, 아이디어를 그 자리에서 받아 적음으로써 머리가 점점 더 돌아가고 마음도 정리된다. 자의식에 사로잡혀 고민하는 일도 사라진다.
- [0초 사고] 0초 사고는 메모 쓰기로 배우고 익힌다 중에서 -

<생각하지 말라>는 말을 어렵게 생각하지 말고 머리에 떠오른 것을 그대로 받아 적으라는 뜻이다. 지나치게 생각에 집착하면 신속하고 깊게 생각할 수 없다. 멋진 말을 하려는 마음에 실제로는 굳어 버린다. 그것을 철저하게 배제시킨다. 떠오른 것을 잇달아 메모에 쏟아 낸다.
- [0초 사고] 메모를 바탕으로 기획서를 완결한다 중에서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