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끼리는 생각하지 마 - 미국 진보 세력은 왜 선거에서 패배하는가
조지 레이코프 지음, 유나영 옮김, 나익주 감수 / 와이즈베리 / 201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릴 때 정치에 대해 너무 무지했고 관심사가 아니었다.

성인이 되어 처음 투표를 할 때도 누가 누군지 모르고 투표 할 때가 많았던것 같다.

그때는 진보와 보수 단어가 나에게 생소한 용어이기도 했다.

이 책에서는 프레임이 중요성에 대해 나온다.

프레임이 뭔가 하는 궁금함이 들었다.

"프레임이란우리가 세상을 바라보는 방힉을 형성하는 정신적 구조물이다. 프레임은 우리가 추구하는 목적과 우리가 짜는 계획, 우리가 행동하는 방식, 우리가 행동한 결과의 좋고 나쁨을 결정한다." p.10

"정치에서는 프레임은 사회 정책과 그 정책을 실행하기 위해 만드는 제도를 형성한다. 프레임을 바꾸는 것은 이 모든 것을 바꾸는 일이다. 그러므로 프레임을 재구성하는 것은 곧 사회변화를 의미하다." p.11

프레임을 어떻게 짜는 것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고 생각이 들었다.

보수와 진보를 어렵게 설명하지 않고 가정을 빗대어 말하였다

보수는 엄격한 부모님 같고, 진보는 자상한 부모로 나타난 것 같다.

어떻게 단어를 선택하는것에 따라 사람들이 들을때 좋은 정책이라고  생각하는 경우 많은 것 같다.

사실 그 정책이 정말 우리들을 위한 정책인지 한 번쯤 생각해야되겠다.

왜 그 용어를 반복 사용하는지를 알게 된 것 같다.

우리가 쉽게 알고 있는 단어를 정치 이야기하고 결합해서 이야기 하니 새로운 느낌이 들었다.

보수와 진보에 원하는 것 읽고 많은 생각이 들었다

보수인 사람들은 진보가 무조건 나쁘다고 생각하고, 진보인 사람들은 무조건 보수가 나쁘다는 생각을 많이 하는 것 같다.

두 정치들을 볼 때 무조건 나쁘다고 생각하면 안 될 것 같다.

이 책은 미국의 정치를 빗대어서 이야기하고 있지만, 우리나라도 비슷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어른들은 젊은 사람들은 정치에 별로 관심 없다고 생각하는데, 사실은 아니다.

 알면서도 관심 없는 척 하는 것 그 정치가 똑같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사람들이 정책에  반대하는 것 이해하는데 가끔 보면 도가 지나친 사람이 많다는것 느꼈다.

정부도 왜 그런지를 생각해봐야되겠다.

나와 다른 사상을 가질때 그 사람을 개종시키지말라는 말이 눈에 들어왔다.

상대를 존중하라.

프레임을 재구성하여 대응하라.

가치의 자원에서 생각하고 발언하라.

자신의 신념을 말하라. p.285

 이 네가지 글을 기억해야돈다고 생각이 들었다.

정치에 대해 어렵다고 생각하는 시기에 만나서 진보와 보수에 대해  알 수 있고, 정치에 대해 많은 생각을 가지게 하는 도서인 코끼리는 생각 하지 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