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레아 우라 - 박삼중 스님이 쓰는 청년 안중근의 꿈
박삼중 지음 / (주)태일소담출판사 / 2015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코레아 우라를 통해서 안중근의사님을 만났다.

이 책 제목이 코레아 우라여서 이게 뭔가 했다

코레아는 대한민국이라는 말을 알고 있었는데.

우라는 무슨 뜻인지 했다

책을 보고 알게 되었다

코레아 우라는 대한민국 만세였다.

내가 아는 안중근의사님은 대한 민국 독립을 위해 이토 히로부미를 저격하신 애국지사 정도 였다.

박삼중 스님은 왜 안중근 의사님을 행적을 오랫동안 쫒아다녔는지 너무 궁금했다.

그 이유를  제1장부터 나와서 알게 되었다.

일본 사찰에서 위국헌신국인본분이라는 비석을 발견하고 나서이다.

이 비석이 안중근 유묵비라고 해서 너무 신기했다.

일본인 입장에서 안중근의사님은 원수 같은 분일텐데 말이다.

지금 우리는 애국지사는 잊혀가고 있는데 오랫동안 향을 피면서  명복을 빌고 있다는 자체가 놀라웠다.

괜히 내가 반성되는 느낌이 들었다

너무 모르는 척한게 아닐까 하는 생각이들었다.

2장에서는 안중근의사님 시점으로 이야기가 시작한다.

 안중근의사님이 이토 히로부미를 저격한 과정과 재판과정이 나왔다.

안중근 의사님은 형무소에 가서도 다른 사람들처럼 심한 고문을 받지 않고, 형무소장, 담당 간수, 어디로 옮길때마다 같이 다녔던 헌병 지바까지 호의적으로 대해서 놀라웠다.

안중근 의사님은 우리나라 독립도 있었지만 평화를 중시하시는 그 말이 그분들도 동의한게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재판 하실때도 안중근의사님 자기 하실 말을 다하시는 것 보고 대단하고 그때 우리나라현실에 대해 알리라고 노력한게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초고속 재판으로 사형까지 받은 안중근의사님은 죽음에 두려워하지 않고, 자기의 자서전을 쓰고, 동양평화론까지 쓸 계획을 하섰다.

동양평화론은 왜 일본의 총리를 죽어야만 했는지, 동양의 평화에 대해 저술한 예정이었는데, 완성하지 못하고 돌아가셔서 너무 마음이 아펐다.

나 같으면 죽음을 다가오면 무서울텐데, 안중근의사님은  후세를 위해 저술 활동하시는 모습이 대단한 느낌이 들었다.

카톨릭신사인  안중근의사님을 보러 온 일본 스님 대화하는 부분을 보았는데, 그 시절때 무작정 의사님을 미워하는 사람만 있는 걸 아니라는걸 느꼈다.

안중근의사님은 죽기전에 각각 글씨 선물을 준 모습을 보고 정이 많은신 분이라고 생각이 들었다.

이 책으로 통해 처음 알았는데 안중근 의사님은 카톨릭 사진이고 세레명도 토마스 였고, 우리나라 말로 편하게 부르기 도마 안중근이 되었다는 것 알게 되었다.

박삼중스님이 대단한 느낌이 들었다.

30년 동안 우리가 몰랐던 안중근 의사님을 행적을 찾아서 의사님의 유묵화 반환하는 운동도 열심히 하시고 강의 하는 모습을 너무 내가 모른 척 한게 아닐까  좀 더 관심을 가져야된다는 생각이 들었다.

1910년 3월 26일 잊지말아야된다.

이 날은 안중근의사님 순국하신 날이다.

안중근 의사님 순국하신지 105주년인데, 우리나라에는 가묘로 되어있었다.

아픈 몸을 이끌고 박삼중 스님이 안중근 의사님을 유해를 찾고 계신다.

유해를 찾아서 우리나라에 돌아왔으면 좋겠다.

 

안중근의사님 말대로 평화의 단어를 잊지말아야된다는 생각이 들었다.

안중근 의사님을 만나서 행복 했고, 의사님에 대해 알지 못했던 부분을 알게 되는 책인 코레아 우라이다.

"평화를 싫어하는 사람은 없다. 하지만 사람들은 탐욕때문에 평화를 보류하거나 포기한다. 싸움과 갈등과 전쟁이 야기될 것을 알고 있으면서도 이를 감수한다. 지구 상에는 매일 싸움이 일어나고 있다. 그저 규모가 작으냐 크냐의 차이만 있을 뿐이다. 그 싸움의 원인은 대부분 욕심 때문이다." p.16

- 코레아 우라 중에서 -

"집착과 욕망으로 부터 벗어날 수 없기에 나와 또 다른 내가 끊임없이 격돌하고 갈등하는 것, 그게 삻이다." p.25

- 코레아 우라 중에서 -

"내가 당신을 때리지 않을 테니 당신도 나를 때리지 말라는 것이오. 힘의 논리로 힘센 나라가 자신들보다 약한 나라를 침략하여 빼앗는 것을 당연시한다면 일본 역시 다른 힘 있는 나라에게 한국과 같은 비극을 겪게 될 것이오. 개인이든 국가이든 자신들이 당하고 싶지 않은 일은 다른 나라에도 하지 않으면 되오. 내가 생각하는 평화란 그뿐이오." p.155

- 코레아 우라 중에서 -

"모든 사람이 옳다고 믿으면서도 선뜻 행하지 못하는 일을 행동으로 옮기는 것이 정의 이다. 그 청년이 위험하다는 걸 몰라서 불 속으로 뛰어 다니는 것은 아닐 게다. 위험을 무릎쓰고 아이들을 구해주고 싶은 마음 때문에 그렇게 했겠지. 그렇게 정의는 때론 부모 자식 간의 사랑보다 더 숭고한 가치를 보여줄 수 있단다."p.195

- 코레아 우라 중에서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