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가족이니까 그렇게 말해도 되는 줄 알았다 - 익숙해서 상처인 줄 몰랐던 말들을 바꾸는 시간
데보라 태넌 지음, 김고명 옮김 / 예담 / 2015년 2월
평점 :
품절

이 제목과 부제목을 보고 마음에 든 책이다
왜냐면 우리 가족이 생각났기 때문이다
이 책은 시작하는 글 <오늘도 가족과 다툰 당신에게>, 1부 <그런 뜻으로 한 말이 아닌데>, 2부는
<가까워서 괜찮은 줄 알았다.>, 맺는 글 <가시 같은 대화에서 연고 같은 대화로> 구성되어 있다.
1부에서는 메세지, 메타메세지와 함께 통제술과 견속술이있고, 2부에서는 가족 대화에 대한 패턴 이야기가 있다.
이 책을 보면서 제일 생각나는게 부모님들은 꼭 이 말을 많이 하시는 것 같다
너를 걱정해서 하는 말이고, 사랑해서 하는 말이니까 잘들어
가족이니까 너한테 솔직하게 이야기 하는거지 남이 너한테 그렇게 이야기 할 것 같니
메타메세지에서는 나에게 관심을 갖는 말이었는데, 나는 이 말을 듣고 많이 상처를 받았다
남동생이랑 싸울때 제일 많이 듣는말은 누나는 진심으로 사과 안한다는 말을 들었다
이때에는 빨리 이 상황을 벗어나고 싶어서 미안해 해도 받아들지 않은 동생때문에 한적도 있었다
이 책에서 사과에 대한 내용이 나와서 더 적극적으로 본 것 같았다.
서로 비난하지 않고 사과를 할 수 있을까 여러 생각이 들었다.
이 책의 사례를 보고 많은 생각이 들었다.
난 부모님이나 언니나 동생한테 제대로 대답을 했을까?
그 사람의 의도를 잘 이해를 했을까 하는 나한테 질문을 하게 되었다.
가족이라는 존재는 나에게 위안을 두고 편안하게 존재이면서 한편으로 나를 힘들게 하는 존재 이기도 하다.
장점보다 단점을 많이 이야기 할까? 그 의도를 모르는것 아닌데. 무조건 고칠라고 하는 것 힘든 부분도 있었지만 이 책을 많은 것 알게
되었다.
나도 모르게 상처를 주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도 들었다.
이 책을 보면서 메타메세지와 프레임 재설정 하는 것 중요하다는 것 알게 되었다
가족관계에 돈톡하기 위해서 의도 하는 말을 제대로 이해하고, 오해하지 않게 솔직하게 이야기 하면 즐거운 대화가 되지 않을까 생각이
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