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의 제단 - 개정판
심윤경 지음 / 문이당 / 2010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나의 아름다운 정원>의 앞부분 2/3에 열광하고, 뒷부분 1/3에 실망했던 터라 무척 궁금했는데
역시, <달의 제단>은 첫 작품의 그런 한계를 말끔하게 극복하고 잘 짜여진 한편의 일대기를 만들어 냈다.
집안에 내려오는 오래된 편지에 쓰여진 이야기와 현재 이야기가 잘 중첩이 되면서
전통에 대해, 청춘에 대해, 사랑에 대해, 알 수 없는 끈에 대해, 사람과 사람에 대해
그리고 그 어떤 '공기'(사람, 시간, 공간을 둘러싸고 있는 그 어떤 기운이라고나 할까)에 대해
정말 끈적끈적하게, 급하지도 느리지도 않은 호흡으로 잘 풀어냈다.
(전작의 후반부에 급박하게 시간을 흘러가게 하면서 사건을 몰아넣었던 것에 비하면, 집안의 역사와 편지 속 이야기와 주인공의 한때가 적절하게 안배되어 그려지고 있다.)

과연, 조상이란, 어른이란, 가문이란 어떤 것일까?
그저 낡고 권위적이고 형식적이기만 한 것일까?
가끔 형식미를 상실한 날 것의 이야기들 대할 때 느끼는 비릿함을 생각해 본다면
형식이란 꽤 의미 있고 중요하다는 느낌이 들기도 한다.
제사라는 것도 마찬가지 아닐까?
하지만 의미보다 앞서는 형식은 언제나 조화를 이루지 못하고 삐걱거리는 법.

여성으로 산다는 것, 어쩌면 과거나 지금이나 달라진 게 별로 없을지도 모른다.
겉으로 보기에는 많이 나아진 것 같지만
남녀의 역할에 대한 고정관념은 여전한 듯하다.
그게 더 무섭다.
겉으로는 나아졌다고 하지만, 여전히 그대로인 상태.
그야말로 불안정한 상태 아닌가.

딸을 낳자, 목을 졸라 그 아이를 죽이는 시아버지
문제의 당사자는 그 시아버지만
더욱 중요한 것은 '여자'에 대한 생각이다.
현재, 낙태에 대해 이야기할 때도 마찬가지이다.
낙태 자체를 논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보다 먼저, 여성과 육아, 사회적 시선에 대해
다듬고 또 다듬는 게 중요한 것 아닐까?

(아이구, 이야기가 완전 삼천포로 빠져 버렸다.)

하여간, 심윤경의 <이현의 연애> 역시 엄청 기대가 된다. 조만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