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션 - 어느 괴짜 과학자의 화성판 어드벤처 생존기
앤디 위어 지음, 박아람 옮김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15년 7월
평점 :
품절


그렇다. 나는 그 답을 알고 있다. 어느 정도는 내가 진보와 과학, 그리고 우리가 수 세기 동안 꿈꾼 행성 간 교류의 미래를 표상하기 때문일지도 모른다. 하지만 진짜 이유는 모든 인간이 기본적으로 타인을 도우려는 본능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가끔은 그렇지 않은 듯 보이기도 하지만, 사실 그렇다. -본문 중에서-



학창시절 나의 가장 큰 공포는 혼자 깨어있는 것이었다. 좀비나 귀신보다, 어두컴컴한 길을 걷는것보다, 나는 밤에 혼자 깨어 있는것이 참 무서웠다. 시험공부를 하느라 새벽까지 혼자 깨어 있을때면 가끔 밖을 나가 몇 집이나 불이 켜져 있는지 세어보곤 했다. 이 시간 나 혼자만 깨어 있는것이 아니란걸 확인해야 불안감이 해소되었던 것이다. 그때와 달리 지금은 스마트폰이나 컴퓨터가 있으니 그런 공포를 느낄 틈이 없지만 그래도 가장 무서운걸 꼽아보라면 혼자 고립된 것을 제일 먼저 꼽을 것이다.


화성에 혼자 남게 된 마크 와트니는 어땠을까? 심한 모래폭풍으로 화성에서의 임무를 접고 복귀를 결정했을 때 그는 예기치 못한 사건을 당하게 된다. 팀장인 루이스는 그를 찾지만 찾을 수도 없고 생체신호도 잡히지 않아 그가 죽었다고 판단해 다른 팀원들은 지구로 귀환한다. 잠시 정신을 잃었던 마크는 다행히 목숨은 건졌지만 이제 가장 큰 미션이 남아있었다. 바로 화성에서 생존하는 것이었다. 6명의 팀원들이 1개월가량 먹을 식량을 다른 탐사대가 오는 4년후까지 최대한 버틸수 있도록 나누고 기계공학자 겸 식물학자였던 그는 큰 볼일 본것으로 화성에서 감자 농사 짓는것을 시도한다. 나사에서도 그가 죽었다고 생각을 했지만 정말 다행스럽게도 위성관리팀의 민디가 마크가 살아있다는 것을 알아낸다. 다행스럽게도 나사는 마크를 살리기 위해 노력한다. 중국의 도움까지 받고 나중에 마크가 살아 있단걸 알게 된 팀원들이 다시 화성으로 향하면서 그를 구하러 간다.


내용은 참 심각하지만 그래도 읽는내내 웃음이 자꾸만 난다. 혼자 고립된 마크는 <나는 전설이다>의 윌 스미스처럼 진지하지도 않고 슬프지도 않다. 그는 혼자 남아있지만 언제나 웃음을 잃지 않고 건강한 마음을 유지한다. 작가인 앤디 위어는 평소에도 우주나 과학분야에도 관심을 가지고 있었고 우주선의 궤도를 계산하는 프로그램을 만들어 직접 계산까지 하면서 이 소설을 써 내려갔다고 한다. 천문학자인 '필 플레이트'는 마션을 과학적으로 매우 정확하고 전문적인 내용으로 구성돼 페이지가 술술 넘어간다고 평가했으니 이 이야기만으로도 이 소설이 얼마나 전문적으로 쓰였는지 알 수 있을것이다. 사실 궤도를 분석하고 마크가 생존하기 위해 기계들을 분해하고 폭발할 수 있는 무언가를 만들고 하는 장면들은 그냥 쓰윽 넘어갔지만 그래도 너무나도 생동감있게 표현돼 읽는 내내 마크가 제발 살아남길 간절히 바라면서 읽게 되었다.


어려운 상황에서도 웃음을 잃지 않는 마크의 모습도, 그를 살리기 위해 노력하는 수 많은 사람들의 모습도 모두 다 감동이었다. 이제 맷 데이먼의 연기로 마션을 볼 수 있다고 하니 그것도 기대가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