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움받을 용기 (반양장) - 자유롭고 행복한 삶을 위한 아들러의 가르침 미움받을 용기 1
기시미 이치로 외 지음, 전경아 옮김, 김정운 감수 / 인플루엔셜(주) / 2014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사람은 누구나 사랑받기 위해 노력한다. 어릴 땐 엄마의 사랑을 받기 위해 예쁜 짓도 하고 좀 더 나이가 들어선 한 사람의 사랑을 받기 위해 노력을 하고 말이다. 아마 그 누구도 미움을 받고 싶어하는 사람은 없을것이다. 하지만 살다보면 모두가 날 사랑하기만 하는 것은 아니란걸 알게 된다. ​ 그 사실이 나를 속이 좀 쓰리고 뭔가 막 신경쓰여 사랑받기 위해 노력을 하게 만들긴 하지만 말이다. 좀 더 시간이 지나 모두에게 사랑받을 수 없다는걸 알게 되면 이 책의 제목처럼 미움받을 용기가 필요해진다. 모두 나를 사랑할 수는 없으니 미움 받아도 괜찮다는 용기 말이다.

지금까지 여러 심리학자나 교육학자의 이론들에 대해서 들어봤지만 나에게 아들러는 생소하다. 프로이트와 융은 그렇게 잘 기억하면서 말이다. 사실 프로이트라고 해봤자 성격이론을 가장 잘 기억하긴 하지만 이리저리 생각해도 아들러는 도통 기억이 나질 않는다. 나에겐 이 책이 아들러에 대해 조금은 이해할 수 있고 알게 만드는 첫 책이 되었다.  청년과 학자의 대화로 이루어져 있는 이 책은 아들러의 심리학을 정말 쉽게 풀어놓아서 이해하기는 참 쉽다. 물론 공감이 가지 않는 부분도 있지만 아, 이렇구나를 외치며 무릎을 탁 치게 만드는 순간들이 좀 더 많은 책이었다.

​이 책에서 가장 먼저 설명하고 있는 부분은 프로이트의 원인론과 아들러의 목적론이다. 가령 부모에게 학대를 받아 방 안에서 나오지 않는 한 아이를 두고 프로이트는 그것은 학대를 받은 것 때문에 방에서 나오지 않게 되었다고 얘길 하고 아들러는 밖에 나가기 싫다라는 목적을 위해 방에서 나오지 않는 것을 선택했다는 이야기이다. 분명 학대를 받았다고 모두 똑같이 살아가고 있는 것은 아니다. 어린 시절 가난해도 누군가는 행복한 가정을 꾸리고 열심히 살아가는 반면 누군가는 오히려 삐뚤어지는 사람이 있으니 말이다. 하지만 어떤 사람의 성격이나 성향은 전혀 고려하지 않고 모두 그 사람이 그렇게 선택하는 것으로 이야기하는 아들러의 심리학은 조금은 잔혹하다고 느껴지기는 했다. 조금 공감가는 구석이 있다면 트라우마는 지금의 나의 모습에 전혀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것이다. 물론 무던하게 살아온 내가 이게 진짜라고 말하기엔 좀 무리가 있지만 진짜 무언가 트라우마가 있는 사람이라면 아들러의 이런 이야기에 공감할 수 있을까?? 하는 생각이 드는 대목이기도 하다.


내가 가장 좋아하던 부분은 아들러의 심리학에선 사람을 수평적 관계로 본다는 것이었다. 그래서 타인을 '평가'하지 않는단다. 평가는 수직관계에서 비롯된 말이고 수평관계를 맺고 있다면 감사나 존경, 기쁨의 인사 같은 순수한 말들이 나온단다. 사람의 관계에서 중요한것은 내게 친한 사람이 몇명 있는가가 아니고 사랑의 깊이가 얼마나 되는가가 더 중요하고 말이다. 신뢰하기를 두려워하면 누구와도 깊은 관계를 맺을 수 없다. 누군가가 나를 배신하는 것에 대해선 그것은 그 사람의 과제니 신경쓰지 말고 말이다.


사실 이 책을 좀더 꼼꼼하게 읽다보면 나의 의견과는 좀 부딪히는 부분들이 많이 생긴다. 물론 이 책의 이야기가 모두 맞거나 따라야 하는 것도 아니고 말이다. 적어도 나의 과제를 남에게 돌리지 말고 남의 과제에도 간섭하지 않으며 어떠한 소속감을 잃어다고 속상해하거나 슬퍼하지 말며 내가 체감할 수 없지만 모두를 하나로 만들어주는 더 큰 공동체가 있다는 것, 모두가 평등한 관계이니 남을  평가하지도 말자.. 그거 하나는 난 참 맘에 든다.


독서모임 진행하느라 빠른 시간에 다 읽어야 했지만 두고두고 천천히 살펴보며 많은 생각을 하기엔 참 좋은 책이다. 책 앞에 남자의 물건의 저자 김정운이 책을 덮고도 계속 생각하게 되고 주체적으로 생각하게 하는 좋은 책이라고 했는데 이 책은 참 좋은 책이다. 다만 미움받을 용기라는 제목만 가지고 좀 오해를 하거나 흔한 자기계발서로 생각하고 읽는다면 큰 실망을 할지도 모르겠지만 이 책이 지금 베스트셀러 1위인데는 다 이유가 있는거니깐 다들 한번은 읽어 봤으면 좋겠다.



'내'가 바뀌면 '세계'가 바뀐다.

세계란 다른 누군가가 바꿔주는 것이 아니라, 오로지 '나의' 힘으로 바뀔 수 있다는 뜻이지.

아들러 심리학을 배우고 나면 내 눈에 보이는 세계는 이제 과거의 세계가 아니라네.

-P.31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