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드라의 그물 Nobless Club 12
문형진 지음 / 로크미디어 / 2009년 4월
평점 :
품절


 

처음으로 노블레스 클럽의 책을 만났다. 나도 꽤나 판타지를 좋아했다라고 자부하던 사람이지만 그것은 판타지 1세대에나 해당하는 이야기고 판타지 2,3세대들의 책들은 굉장히 싫어하고 기피하는 편이다. 그러다보니 자연스럽게 1세대들의 책들 외에 다른 책들은 읽지 않게 되었고 더 솔직해지자면 노블레스 클럽이란 이름도 요 근래에 들어 처음 알게 되었다.




판타지의 황금기이자 부흥기였던 1세대를 지나 몰락기라고 말하는 3세대를 지나고 있는 요즘 노블레스 클럽은 장르문학의 용사와 같다. 그들이 용기 있게 12번째 책을 냈다. <인드라의 그물> 일단 제목부터 상당히 어려움이 느껴진다.







교는 여의와 함께 정각당에 살며 반야경을 지키고 있다. 어느 날 신수를 잡으란 메시지를 받고 신수를 잡으러 갔다 한 어린아이를 줍게 되었고 그 아이는 하룻밤 사이에 성인으로 자라 있었다. 그 아이를 어찌 할 수 없어 교는 아이에게 칼키라는 이름을 지어주고 함께 정각당에서 살게 된다. 그러던 중 반야경을 노리던 한 무리가 정각당에 쳐들어오고 반야경이 사라진걸 알고 교를 납치해간다. 이 책은 칼키가 교를 찾으러 나서는 이야기이다.




인드라의 그물의 세계관은 상당히 독특하다. 과학과 불교의 만남이라 더욱 그러하다. 제목에 나오는 인드라의 그물이란 말은 끊임없이 서로 연결되어 온 세상으로 퍼지는 법의 세계라는 말이란 뜻인데 이것이 이 책의 가장 중요한 포인트이자 반전의 열쇠이기도 하다. 또 과학과 불교의 만남은 기묘하기만하다. 모뎀을 새처럼 여기고 나무 열매를 먹이로 준다. 또 인터넷 회선 같은 것을 인드라망이라 부르며 인터넷 접속장애를 강림현상이라고 부른다. 그러면서 이 세상엔 여러 종족들이 살고 있으며 반야경을 지키고 보살들이 나오기도 한다.




하지만 찬사를 받을 만큼 잘 쓴 소설은 아닌 듯 하다. 불교에 대한 지식은 전혀 없는 나인지라 여기서 이야기 하는 모든 말들은 따로 설명이 필요했지만 그 설명 또한 매우 적었으며 과학과 불교의 기묘한 만남은 말 그대로 기묘해 보일 뿐 번뜩이는 아이디어로 보이지는 않았다. 그저 불교의 용어로 되어 있었더라면 덜 혼란스러웠을 것이 모뎀을 새처럼, 접속장애를 강림현상이라 바꾸어 말하면서 약간의 혼란을 가져왔다. 더욱이 충격이었던 것은 교를 찾으러 떠난 칼키가 관세음보살과의 성관계를 통해 깨달음을 얻는다는 것이었다. 한달에 한번 광장에서 열리는 법회에서 공덕을 가장 많이 쌓은 사람을 뽑아 상을 주는데 그 상이 관세음보살과의 성관계라는 설정은 충격 그 자체였다. 기존의 종교를 가지고 이런 세계관을 만들거면 차라리 새로운 종교를 만들어 세계관을 만드는 것이 어땠을지 하는 아쉬움이 많이 남았다.




정말 아쉽게도 용사들이 내 놓은 판타지는 3세대들의 판타지와는 다른 듯 하면서도 비슷했다. 어린아이의 지식으로 어른이 된 칼키는 역시나 모든지 뛰어난 먼치킨이었고 관세음보살도 교도 칼키에게 맘을 주는 할렘물의 성향도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서로의 본질을 깨닫고 그 세계는 무너지고 다른 세계가 돌아가는 게임판타지의 성향도 보이고 있었다.




몰락해가고 있는 한국 판타지 속에서 중심을 잡아가려는 노블레스 클럽, 그리고 1985년생이라는 어린 작가가 선보인 <인드라의 그물> 1세대들의 필력을 기대하며 보았기에 이 책의 세계관과 필력이 조금 아쉽기만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