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인의 해석
제드 러벤펠드 지음, 박현주 옮김 / 비채 / 2007년 2월
평점 :
품절


1909년 프로이트는 제자인 융과 함께 미국을 방문했고
미국에서 젊은 정신과 의사 영거를 만난다.

그리고 뉴욕의 어느 한쪽에선 젊고 너무나도 아름다운
한 여성이 잔인하게 살해당한 채로 발견이 된다.

그리고 노라라는 한 소녀가 살해당할뻔 하다가
기억과 목소리를 잃은채 발견이 되고 영거박사가 이 소녀를
치료하게 되면서 이 이야기는 본격적으로 시작된다.

 

1909년이 배경인지라 내가 너무나도 좋아하는
C.S.I의 과학수사같은건 이루어지지 않는다.

검시관인 휴겔이란 사람이 등장하긴 하지만 시대가 시대인지라
그런 수사는 무리가 있다는...

솔직히 이 책은 프로이트라는 이름을 보고 샀던 소설이었지만
프로이트는 주인공이 아니다.

앞표지를 보면 프로이트와 제자 융의 배신..
그리고 살인이야기가 주된 내용일듯 하지만

프로이트와 융은 이 소설속에서 조연에 불과하다.

진짜 주인공은 노라를 치료하는 영거박사와 리틀모어라는 형사이다.

영거박사는 노라를 치료해나가면서 점점 사건의 본질에
다가가게 되고 리틀모어 형사는 열심히 발로 뛰면서
사건에 다가간다.

프로이트는 영거박사가 이 사건에 대해 이야기를 할때
그 이야기를 들어주며 조언을 해주는 조언자에 불과했고

융은... 도대체 뭘했던 사람인지 난 알수가 없다~ ;;

 

조금은 숨가쁘게 돌아가는 추리를 기대했다면 아마 실망을
할지도 모른다.

C.S.I 같은 과학수사가 아니고 정말 그 사람의 심리를 파고
들며 사건을 풀어나가기에 사건을 해결해나가는데에 조금은 시간
이 걸린다.(아마 그래서 이렇게 많이 두꺼운가보다.)

하지만 정말 반전은 있었다.

범인일거라고 모두가 예상했던 그가 범인이 아니었다는 사실에..
 실은 그도 이용당했단 사실에 놀라웠다.

정말 기대를 하고 보면 김새는 면은 없지 않아 있지만,

이 소설..

서서히 달궈지는 그런 소설이었다.

 

- 행복해지는 방법과 의미를 얻는 방법은 다르다.

행복을 얻기 위해서는 순간을 살아야한다.

단지 순간을 위해서만 살아야한다.

그렇지만 의미를, 꿈과 비밀과 인생에 대한 의미를 얻고 싶다면,

아무리 어둡더라도 과거를 돌아볼 줄 알아야 하며,

아무리 불확실 하더라도 미래를 위해 살아야한다.

 

-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는 진짜지만,

그 모든 서술부의 주어는 아이가 아니라 부모였다.

아이가 자라남에 따라 콤플렉스는 더 심해진다.

딸은 곧 어머니가 저항하지 않을 수 없는

젊음과 미모를 갖추고 대적하게 된다.

아들은 결국 아버지를 따라잡게 되고,

아들이 커감에 따라 아버지는 자신을 밟고 지나가는

세대교체의 거센 물결을 실감하게 된다.

하지만 어느 부모가 자기 자식을 살해하고자 하는

욕망을 드러내놓고 말하겠는가?

어느 아버지가 자기 아들을 질투한다고 인정하겠는가?

그러므로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는 아이들에게 투영된다.

오이디푸스의 아버지 귀에 들리는 목소리는,

바로 자신이 아들에게 은밀한 살해 욕망을 품은게 아니라,

오이디푸스가 어머니를 갈망하고

아버지의 죽음을 꾀하고 있다고 속삭인다.

 

- "선생님은 행복했나요?" 노라가 뜬금없이 물었다.

나는 생각해보았다.

"프로이트 박사님 말로는 불행은 우리가 추억을

놓을 수 없을 때 온답니다."

"박사님께서 어떻게 추억을 놓아야 하는지도 말씀하셨나요?"

"추억을 되살림으로써 놓아야 한다고 하더군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