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르크스 평전
프랜시스 윈 지음, 정영목 옮김 / 푸른숲 / 2001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제 신화를 벗겨내고 인간 카를 마르크스를 재발견할 때가 왔다."

 

  내게도 그러한 시간이 주어졌다. 

 

  이 책은 '평전은 지루하고 어려울 것'이라는 편견을 깨고 인간 마르크스에 부대껴보게 한다. 책의 시작부터, 마르크스의 삶과 사상의 모순된 모습이 그 자체로 마르크스였음을 알리고, 각 장마다 마르크스에 관한 분명한 인상을 심어준다. 늘 싸우고 비꼬고 위압적인 인상으로 상대방을 압도하는 마르크스의 모습은 마치 커다랗고 여기저기 모가 나 있는 고독한 바위와 같다. 특히 마르크스가 사람들과 싸울 때면 놓치지 않았던, 주된 전략인 변증법 역시 흥미롭다. 프랜시스 윈조차도 그의 '사소'하고 '엄청난 정력을 쏟는' 다툼들을 기록하는 동시에, 어처구니없어 한다. 그러나 사람이란 자기만의 세계가 있기 마련이고 그 안에서 패배하면 존재의 뿌리가 뽑힌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음을 고려해보면, 마르크스의 다툼들을 그 나름의 세계로 자연스럽게 받아들일 수 있다.

 

  한편으론 지독한 가난 속에서도 세 딸을 지극정성으로 키우고 '귀족적인 숙녀로서의 조건'들을 갖춰주려는 아버지의 모습은, 분명 모순이고 철없어 보이기도 하지만, 그저 '인간'임을 느끼게도 한다. "욥만큼 신을 두려워하지는 않지만, 욥만큼 고통은 겪고 있네."라고 말할 수 있다면, 그렇게 깊은 고통에까지 다다른 사람이라면 '모순'이야말로 일상적인 삶의 방식으로 여겨질 수 있을 것이다. 때문에 마르크스는 그 고통 속에서, 필요악으로 보이는 다툼들 속에서, 당대에 작은 이슈도 되지 못한 『자본』을 쓸 수 있었을 것이다.

 

  주변 사람들에게 “지적인 깡패”라고 불리던 마르크스, “욥만큼 신을 두려워하지는 않지만, 욥만큼 고통은 겪고 있다”라고 말하던 마르크스. ‘행복’이란 ‘싸우는 것’이고, ‘불행’이란 ‘굴복하는 것’이라고 당당하게 적는 그의 모습을, 상상해본다. 그저 편안하게 하루 이틀 이 책을 읽었을 뿐인데, 다소 거칠지만 계속 연락하고 지내고 싶은 친구처럼 다가오는 칼 마르크스를 만났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