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국 7대 불가사의 - 과학 유산으로 보는 우리의 저력
이종호 지음 / 역사의아침(위즈덤하우스) / 2007년 3월
평점 :
품절
신기전이 가상으로 그려본 이야기이겠거니 생각했다.
이 책을 통해 실제한 사실이고 최초 로켓임을 알며, 민족적 자부심과 함께 만나니... 스스로 우쭐해지는 자부심 역시 한켠에 자리한다.
과학 유산으로 보는 우리민족의 저력을 7대 불가사의란 이름으로 편집한 책이다.
고인돌에서 발견된 고대의 천문도
신라의 황금 보검
다뉴세문경
고구려의 개마무사
무구정광대다라니경
고려 수군의 함포와 훈민정음 이렇게 7가지에 대한 과학적 접근을 통해 세계에 우뚝한 한 민족의 자긍심을 밝히고 있다.
금속과 관련된 것이 주류를 이룬다. 청동기 철기 개마무사의 모습이...
문화와 관련된 인쇄술의 무구정광대다라니경, 훈민정음
다 읽고 난 지금은 왠지 든든함 자부심만 드는 것 같지는 않다.
먼저, 현실에서 이러한 우수성이 제대로 검증받아 지고 있지 못하는 현실적 한계를 느낀다. 많은 것이 남북으로 갈려 있어... 세계에서 공인받지 못하는 부분의 접근을 이룬다는 현실의 벽이 가장 크게 다가서는 것 같다.
또 한가지는 세계 최고의 인쇄본과 훈민정음이란 것이 있지만, 이 것의 사회성에 있어서는 많은 나라에 있어 뒤지지 않는가 하는 반성이 그것이다.
인쇄술의 발달이 백성들의 계몽으로 이끌지 못하고, 소수집단에만 독식된 모습이 오늘 같은 약한 국력을 만든 것 아닌지 하는 아쉬움이다.
상층논쟁의 수단으로 이용되고, 기층의 사람들을 위한 보급에 있어 얼마나 열심이였는가에 대해서는 아는바 없는 것 같으니 말이다.
과학적 우수성으로 세상을 놀래킬 수 있는 것이 정작 과거의 유물로써 의식의 빈약한 끝만을 쫓고 있지 않은가 하는 홀로체념에 서있는 것 같다.
저자는 나름의 현대적 의미를 잘 부여 했다.
고인돌의 모습과 청동기 유물에 대한 추적을 통해 한반도 5천년의 역사를 나름에서 반증하고 있다. 또, 다뉴세문경이란 청동기 거울의 정교한 문양을 통해 기술적 자부심과 누구도 따를 수 없는 한국인의 섬세한 기술력을 증명하고 있다.
이체로운 것은 훈족의 이동경로를 말하고 있는 신라의 황금보검이야기는 환타지 소설을 보는 것 같은 느낌이 든다. 로마시대 문양이 극동 신라에서 발견되어 짐으로 이를 추적한 결론으로 훈족의 쌍방향 이동 경로를 꾸미는 것이 재미난다.
마지막으로 아주 오래 전부터 책장에 아무관심 없이 있던 환단고기란 책을 한번은 읽어 봐야겠다는 생각이다.
영화 '신기전'이 이런 자부심을 드높이고, 선전하는 유력한 방안이지 싶다.
새로운 컨텐츠로 다시 살아나는 한민족의 자부심... 더 크게 꿈꿔본다면, 남북이 함께 날을 기대해 본다.
문학에 있어서도 이런 근거를 바탕으로 하는 우리식 환타지 소설이 붐이 일었으면 싶은맘이다.
보다 많은 상상을 그려준 저자에게 감사드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