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이 인간에게 준 두 가지 선물이 있었다.

그것은 자연을 극복하라고 준 불이였고, 또 하나는 정확히 볼 수 없는 눈이였다.
사물을 투영하여 보는 방식의 눈은 정확히 볼 수 없었지만, 여러가지 그림들이 겹쳐 보이는 형상을 하였다. 이 겹쳐보이는 것 때문에 의식이란 것이 다른 동물들과는 남다른 출발을 할 수 있었다.
 자연에 적응하기에 미흡한 것을 잘 알기 때문에 집단생활을 시작했고, 때맞춰 닥친 추위를 피래 동굴생활을 시작했다.  그 동굴 안을 밝혀주는 불은 생존과는 구별되는 최초의 의식을 만들었다. "불꽃의 춤" 꼭 자신을 보는 것 같은 모습이 보였던 것이다. 태양아래에서는 전혀 볼 수 없었던 자신의 그림자를 처음으로 본 것이다. 항상 따라 다녔지만 알지 못했던 자신의 그림자는 새로운 이정표를 형성시켰다. 이것이 자신과의 대화의 첫 시작이 되었다. 이 대화를 통해 만나게 되는 많은 것들... 여유를 가져본 적 없었던 삶에서 만나게 되는 이 작은 뒤틀림은 파괴의 역사를 이끄는 시작이 되었다.


 오래전 겸허가 아닌 생존으로 이룬 털을 벗어버리는 선택을 하게된 그들은 다양한 변화를 일궈냈다. 농경을 시작하게 되며 근거지를 만들고 식구들도 무척 늘었다.

그렇게 평화로움을 만끽하던 때  '죽음'을 창조하게 되었다.
죽음의 창조 자신이 영속할 수 없는 존재라는 자기 의식이 만들어지며 여러가지 불편한 사실을 알게 되었고, 이를 극복하고자 하는 노력을 하였다.  죽음의 창조의식 이는 두려움이라는 의식에 잡힌 자신을 만나며 그들을 신을 동경하게 되었다.

이 때 정도에 다시 한 번 신은 찾아와 다양한 의식들을 남겨 주고 간다.
이러한 의식의 부분이 더욱 커져 가며 문명이 만들어진다. 문명의 기준은 권력의 기준이 맞다고 생각된다. 권력의 형성을 통해 문화가 만들어지는 것이였다.
이 문명의 탄생의 기간의 창조의 시대를 종료시키고, 파괴의 시대로 이끄는 출발이 되었다. 영속성을 위한 노력 그 시작이 되었던 것이다.

이제는 파괴가 곧 질서가 되는 시대의 시작이 되었다.
이 때 신들은 희망만을 남겨 두고 다시금 돌아오지 않을 것이라 말하고 떠났다.

사실 희망만을 남겨 두고 떠났다는 표현은 적절하지 못할 것 같다.
왜냐면 당시 희망은 신들로부터 버림받은 거짓으로 무장한 못된 존재였다는 것을 누구도 알지 못했으니 말이다. 그 때 희망은 신들로부터도 버림을 받았던 것이다.

홀로 존재 할 수 없었던 희망의 기생적 삶이 인류와 함께 파괴의 역사를 전면에서 조작한다. 그의 생존기 내가 이야기 하고자 하는 것은 그 기만적인 희망의 환술들을 보여내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