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세상의 비밀을 밝힌 위대한 실험 - 우주의 작동원리를 탐구한 10가지 실험들
조지 존슨 지음, 김정은 옮김 / 에코의서재 / 2009년 5월
평점 :
품절
중학교 과학 교과서의 주석서를 보는 것 같다. 이야기로 풀어본 실험실의 고뇌의 모습 자연과 과학 그리고 사회라는 범주에서 합일 그리고 실험실이라 특화된 공간의 이야기가 재미있다.
사고하는 것 사고를 실험해 보는 것 그것을 증명하기 위한 자신만의 방법을 고안해 내는 것. 이러한 과정에서 느끼는 나와의 차이는 무엇일까에 대한 내안의 질문들...
빗면을 구르는 구슬의 속도를 알기 위해 노래 부른 갈릴레오 갈릴레이
생명의 원초적 동력이 되는 피의 순환을 밝히기 위한(피의 공급과 수집을 밝힌) 하비의 심장해부
빛의 굴절을 통해 색의 정체를 밝히는 뉴턴 또 자신을 실험 대상물로 삼은 모습
화학의 아버지라 칭할 라브아지에의 연금술에서 화학으로 발전모습.
생명체의 운동의 기초를 밝히고자 했던 갈바니의 개구리 뒷다리 연구.
패러데이의 자기장 실험
줄의 에너지 실험
빛의 속도를 측정하고자 하는 노력
뢴트겐의 방전관 실험
과학이 가지는 선입견은 명제와 수식으로 정의되어진다는 결과만을 기억하고 있었던 것 같다. 이를 위한 치열한 의식세계의 동력은 과연 어디에 기인했을지 그들의 자세를 배워보는 것 같다.
학교를 나온지 오래여서일까... 무지를 들키는 마음이 없지는 않다. 그들의 실험이 갖는 의의와 내용을 잘 이해할 만큼은 아닌듯하다.
돌이켜 생각해 보면 그들의 실험의 필요성을 느낀과정은 어디에 기인했는지가 더욱 궁금한 부분이다. 머리속 증명을 실제에서 정리하는 실험실이라는 공간에서 노력과 실패들 추론과 이론의 성립 그러한 확신을 보여내기 위한 실험의 장.
의식은 사회적 처지에 기인함을 전제할 때 그 실험이 가지는 의의를 명쾌히 이해하지 못하는 것은 조금은 아쉬운 부분이다.
실험실 안에서의 그들의 독백을 들을 수 있다.
그들의 몰입의 가치는 뉴턴이 바늘로 자신의 눈을 찔러 보는 실험을 통해 빛의 성질을 밝히는 것과, 라브아지에의 단두대에서 눈깜박임의 횟수를 확인하고자 했다는 근거불명의 이야기를 통해서 열정의 깊이를 느낀다. 한 번 알고내고자 하는데 집중하는 동력은 어떠한 댓가를 통해서라도 얻고자 하는 열정이 누구에게나 존재하고 있음을 알기 때문이다.
한 번 읽고 싶은 책은 꼭 구매해야 하는 나의 습관에 기인해 그들의 근성을 알 것 같다.
과학... 수식과 명제로 만나는 과학이 아닌 그들의 일상과 열정의 이야기 앞에서 만난다는 것이 편안하니... 좋다. 살내음 나는 그들의 일상이...
그들의 노력에 근거해 사회는 발전하였다. 요즘의 과학서를 새롭게 떠들어 보고 싶은 의욕이 나선다.
다만, 과학자들의 열정과 사회적 책임에 대한 부분을 만날 수 있는 그런 책도 준비되어진다면 참 좋을 것 같다. 과학의 발전이 항상 사회에 순기능으로만 작용하는 것은 아니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