욱하는 성질 잡는 뇌과학
가토 토시노리 지음, 고선윤 옮김 / 평단(평단문화사) / 2024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욱하는 성질 잡는 뇌과학' 은 책제목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우리 신체 부위 중 가장 

중요한 부위 중 하나이자 우리의 모든 말과


행동, 생각을 조종하고, 신체적으로 중요한 

기능을 하고 있는 뇌와 화를 내는 것의

연관성이 무엇인지 자세히 설명하는 책이다.


우리는 친한 사람들과 만나서 여러가지 

주제를 가지고 나누는 도중에 문득 

나 이런 적 있었어라고 말하면, 


​다른 사람들도 나도, 나도 하면서 본인들 

역시 그런 경험이 있다면서 다른 사람들 

그 상황과 느낌을 공감하게 되는 경우들이 있다.


​또, 일상생활을 하다가 문득 어떤 상황이 

일어나게 되거나, 생각이나 느낌을 받았을 때, 

이거 왜 그런거지, 나한테만 일어나는 상황인가? 라는

생각을 하게 되는 경우들이 있다. 


​그럴때 마다 우리가 왜 이런 말과 행동을 하는지, 

왜 이런 마음이 생기는지, 우리가 이것들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판단을 할 수 있는건지 

이유를 알고 싶지만 누구에게 물어 봐야 할 지 

잘 모르고, 정확한 답을 구하기 어려웠다.


'욱하는 성질 잡는 뇌과학' 은 왜 화내면 안 될까,

화내지 않는 사람은 ‘듣는 귀’를 가지고 있다,

화를 폭발하지 않는 기술, 다른 사람의 

분노에 감염되지 않는다, 거슬리는 사람에게 

다가가는 방법, 화내지 않는 사람의 비밀,

뇌의 가지를 뻗어 분노 회로를 초기화한다까지.


6가지 주제로 나누어서 자세히 설명하기 

때문에 사람들이 화가 났을 때 화를 

폭발하지 않고 욱하는 성질을 잡는

방법이 무엇인지 구체적으로 배울 수 있었다.


좌뇌와 우뇌에는 8개 뇌번지(사고계, 전달계, 

이해계, 운동계, 청각계, 시각계, 기억계, 감정계)가

있는데 우리는 이 8개 뇌번지에서 감당할 수 없을 때


화를 내는데, 분노를 표출하는 방법이 좌뇌와

우뇌 중 어느 쪽이 더 강하게 작용하느냐에 

따라 달라진다는점을 이해할 수 있었고,


특히 화가 치밀어오를 때는 적당히 말을 

끊고 조급하게 일을 결정하거나 진행하고

싶은 마음을 가라앉히는려는 노력이 필요한데,


최소 1시간은 미루어야 하며 1시간이 

지나면 마음이 가라앉아서 ‘아까는 왜 

그렇게 사소한 일로 짜증이 났을까’ 라고 

마치 남의 일처럼 느끼기도 한다는점에서

이 부분을 중요하게 생각해야 할 것 같다.


단순히 이론적인 설명이 아니라 뇌과학자이자

의사로서 1만 명 이상의 뇌영상을 살피며 삶의

방식을 분석하고 뇌 연구를 끊임없이 해오고 있는


저자의 오랜 연구 경험과 결과를 바탕으로 쓴

내용들이라서 실질적으로 많은 도움이 됐다.


'욱하는 성질 잡는 뇌과학' 에 담긴 내용 중에

본인에게 도움이 되는 내용에 공감하면서

화를 내는 감정, 욱하는 성질을 없애기 위해 

노력한다면 좀 더 행복한 삶을 살 수 있을 것 같다. 


출판사에서 도서를 제공받아 직접 읽고 작성한 서평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