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권력의 심리학 - 누가 권력을 쥐고, 권력은 우리를 어떻게 바꾸는가
브라이언 클라스 지음, 서종민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 / 2022년 1월
평점 :

'권력의 심리학' 은 책제목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권력을 가지게 되는 사람은
누구이고 권력을 가진 사람에 의해
우리의 삶이 어떻게 변화를 겪게
되는지에 대해 이야기하는 책이다.
사업의 방향성과 목표를 정해야하는 CEO,
기업 임원들, 각 팀을 총괄하는 팀장 등
조직을 이끌어가는 리더들이 존재한다.
리더에 의해서 기업, 조직 전체의 분위기가 달라지고
리더가 어떤 목표와 계획을 세우고,
방향성을 결정하느냐에 따라서
기업이 성장하기도 하지만,
리더의 잘못 된 전략으로 인해
기업이 큰 위기에 빠지기도 한다.
그렇기 때문에 제대로 된 지도자,
리더를 선택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권력의 심리학' 은 권력의 진화,
권력을 향해 뛰어드는 사람들,
권력이라는 망상, 악한 리더를 감지하는 신호,
나쁜 시스템의 부산물, 모든 권력은 부패하는가
권력은 우리를 어떻게 바꾸는가,
권력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
더 나은 사람을 끌어들이는 전략,
책임의 무게를 견디는 법,
감시받는 사람들, 부패하지
않는 권력을 설계하기 위하여까지.
총 12개의 주제로 나누어서 설명한다.
어떤 사람, 어떤 시스템이 더
쉽게 권력을 쥐고 부패하는지,
개인이 조작과 위협으로 권력으로
손에 넣는 과정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문화적 배경이 개인과 국가 시스템의
부패에 미치는 영향이 어떻게 되는지,
잘못된 권력을 부여했을 때 일어났던
사건들이 무엇이고 그 사건에 담긴
본질적인 문제가 무엇인지 파악할 수 있었다.
특정 유형의 사람들이 권력을 탐하고
자신을 위해 권력을 손에 넣으려 애쓰는
자기 선택 편향을 낳는다는점을 이해할 수 있었고,
권력에 취한다는 말이 있는 것처럼
권력자들은 자제력을 잃는 경향이
있는데 자신이 강력한 사람이라는
기분이 들수록 타인이 자신을 어떻게
생각하는지에 신경을 덜 쓰고
타인의 기분을 읽는 능률이 떨어지는데
이것은 타인과 공감해야 할 필요성을 덜
느끼기 때문이고 이들은 규칙이 자신에게는
적용되지 않는 듯한 기분을 느끼기
시작한다는점을 알 수 있었다.
제20대 대통령선거가 이제 열흘밖에 남지 않았다.
1인 1표의 민주주의를 통해 원하는 후보를 당선시키고
그를 통해 내 삶을 바꾸는 공적 결정을 내리게 할 수 있다.
민주정치를 통해 보통 사람들이 자신의 실질적
이해와 요구를 구현해낼 수 있는 것이다.
국민들의 올바른 선택을 통해 지금보다 더
발전된 한국 정치의 새로운 모습을 보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