움직임의 뇌과학 - 움직임은 어떻게 스트레스, 우울, 불안의 해답이 되는가
캐럴라인 윌리엄스 지음, 이영래 옮김 / 갤리온 / 2021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움직임의 뇌과학' 은 책제목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신제의 움직임이 우리의 정신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는 책이다.


이제 2021년도 3개월 정도밖에 남지 않았다.

새해가 되면  많은 사람들이 건강한 생활을 

유지하기 위해서 걷기, 등산, 자전거 타기, 

수영, 헬스, 요가 등. 여러가지 운동과 관련된 

목표와 계획을 다양하게 세우게 된다.


그리고 처음에는 계획대로 잘 실천 하는 것처럼

하다가 어느새 여러가지 상황과 이유,

핑계를 대면서 점점 운동을 미루게 된다.


하지만 제대로 건강관리를 하기 위해서는

자신의 현재 몸 상태가 어떤지를 제대로 

이해하면서 그에 맞는 해결방안을 찾고


규칙적인 생활 습관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한데

무엇보다 꾸준한 신체 움직임을 

하려는 노력이 반드시 필요하다.


'움직임의 뇌과학' 은 우리는 움직이기 위해 진화했다,

걷기는 어떻게 창의력을 높이는가, 

근력이 정신력을 만든다,

춤을 추면 행복해지는 이유, 

단단한 코어의 힘


기분이 좋아지는 가장 빠른 방법, 스트레칭,

오직 인간만이 호흡을 제어한다, 휴식의 기술

일상에 더 많은 움직임을까지.


9가지 주제로 나누어서 움직임의 

중요성과 효과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움직이는 방법을 자기관리의 한 방식으로

이용해 신체적, 정신적 기능을 향상시키는 것은

전적으로 가능하고 뇌, 몸, 정신이 하나의 훌륭한 

시스템의 일부라는점이고 그것들은 움직일 때 

모든 면에서 더 나은 작용을 한다는점을 이해할 수 있었다.


무의시적인 사고의 문제는 그런 사고를 하는 

당사자도 그 작용을 눈치재지 못하기 때문에

측정이 까다롭지만 원인이 무엇이든 잠깐 동안의


전전두피질의 활동 감소는 우리를 우울한 

반추에서 잠시나마 벗어나게 해주고 평범한

해결책보다 비현실적인 사고를 우선함으로써

창의성을 복돋운다는점을 알 수 있었다.


의식과 무의식의 모든 단계에서 뇌가 

관여하기 때문에 잘못된 성격과 습관을 

바꾸기 위해서는 뇌가 움직이는

방식을 이해해야하고 뇌가 사고와 

행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제대로 

알고 있어야 바꾸기 쉽다는점을 배울 수 있었다. 


단순히 이론적이 설명이 아니라 뇌과학에서

세포 생물학, 진화 생물학까지 갖가지 다양한

분야에 몸 담은 과학자들이 신체의 움직임이

정신에 영향을 미치는 방식에 대해 연구한 내용과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설명하기 때문에 

걷기, 근력 운동, 춤, 코어 운동, 스트레칭,

호흡, 휴식 등의 다양한 움직임이 우리 

정신에 어떻게 미치는지, 스트레스, 우울,

불안을 해소하는데 도움이 되는지 알 수 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