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1세기 권력 - 인터넷을 소유하는 자 누구이며 인터넷은 우리를 어떻게 소유하는가
제임스 볼 지음, 이가영 옮김 / 다른 / 2021년 10월
평점 :

'21세기 권력' 은 책제목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현대인의 필수 도구이자 중요한 수단인
인터넷으로 인해 만들어지고 있는
새로운 권력 구조와 변화의
흐름에 대해 이야기하는 책이다.
하루에도 수천개의 기사가 쏟아진다.
중요하게 다루어지는 기사가 있는
반면에 쉽게 잊혀지는 기사가 있다.
많은 사람들이 관심 있어 하고,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하는
기사임에도 불구하고 취재와 보도에 한계가 있거나,
더이상 진전을 보이지 못하고 금방 사람들의
관심 속에서 잊혀지는 기사들이 있다.
과거에 비해 미디어 숫자가 급격하게 증가했고,
SNS와 유튜브가 발달하면서 자체적으로
콘텐츠를 제작하는 사람들 역시 많아졌고,
소비하는 사람들 역시 많아졌다.
객관적인 관점에서 상황을 바라보고 이에 대한
정확한 내용을 전달하기도 하지만 진영에 따라서,
이익에 따라서, 여러가지 이해에 따라서
사실을 왜곡하거나 잘못 된 정보를 공유,
전달하는 경우 역시 많아졌다.
그리고 때로는 이런 정보들이 대중의 지지를 얻으면서
거대한 힘으로 발전하게 되면서 정치적 결정에
많은 영향을 발휘하게 될 수 있다는점에서
큰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는점을 알고 있지만
왜 이런 문제가 발생하고 어떻게 개선해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잘 모르는 경우가 많다.
'21세기 권력' 은 기술- 설계자, 망 사업자,
관리자, 돈- 투자자, 광고업자, 전투-
사이버 전사, 규제기관, 저항운동가로
주제를 나누어서 자세히 설명하기 때문에
위와 같은 사례의 근본적인 원인이자 전세계
사회 전반을 지배하고 있는 인터넷 기술과
문화를 통해 인터넷의 거대한 권력 구조와
인터넷이 우리를 어떻게 통제, 감시하고 있는지,
무관심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인터넷의
거대한 권력 구조와 시스템을 개선하기위해
우리는 어떤 방식으로 노력해야하는지 알 수 있었다.
단순히 이론적인 설명이 아니라 인터넷의 광범위한
사용이 불러올 정보 시장 자유화의 부정적 효과를
연구대상으로 삼고 정보 시장의 새로운 변화가
거짓, 왜곡된 정보를 퍼뜨리기에 유리한 환경을
조성할 것이라는점을 이해할 수 있었다.
인터넷에서의 여러가지 주장들이 어떻게
잘못 받아들여지고 변형되면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논리로 발전하게 되는지,
우리의 사고 방식과 생활을 잘못된 방향으로
이끌 수 있게 되었는지의 과정을 구체적인
사례를 바탕으로 설명하기 때문에 유익했다.
'21세기 권력' 을 통해 인터넷을 바로잡고
통제하는 일은 세상을 바로잡고 통제하는
일이고 어느 정도는 모든 인류에게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는점에서
인터넷을 우리에게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움직일 방법을 적극적으로 찾고
실천해야한다는점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