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렌드 코리아 2022 - 서울대 소비트렌드 분석센터의 2022 전망
김난도 외 지음 / 미래의창 / 202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트렌드 코리아 2022' 은 

책제목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2022년 

소비트렌드를 자세히 전망하는 책이다.


4차산업혁명의 이슈가 시작된지 꽤 시간이 지났고, 

지금도 세상은 빠르게 변하고 있다. 

그리고 빠른 변화의 속도를 

따라잡는 것은 쉽지 않다.


최근엔 각 세대마다 가지고 있는 특징이 다양하고, 

스마트 기술의 발전과 함께 소통 채널 역시 

많아지면서 트렌드라는 말이 무색 할 정도 

세상의 흐름이 빠르게 변하고 있고 코로나로

인해 미래를 예상하기가 쉽지 않은 상황이다.


연말이 되면 새해 트렌드를 예측하는 책들이 많이 출간된다. 

그러나 대부분의 책들은 새로운 이야기 보다 

현재 유행하고 있는 상황들에 대한 내용들 

바탕으로해서 이미 지나버린 트렌드거나 

너무 범위가 넓어서 공감되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


'트렌드 코리아 2022' 는 서울대 소비트렌드

분석센터의 다양한 조사와 데이터 분석을 바탕으로 

현재 우리 삶의 여러 분야에서 일어나고 있는

기술 변화와 함께 앞으로의 미래의 모습,

글로벌 트렌드에 대해 이야기 한다.


매년 '트렌드 코리아' 를 통해 

새로운 한 해의 전망을 예측하는데 

많은 도움을 받았기 때문에 

이번 책 역시 기대감을 가지고 읽었다.


먼저 2021년의 소비트렌드를 반전의 서막,

일상력의 회복, 나를 찾아가는 시간, 혁신하기

가장 좋은 때, 부쩍 다가온 신시장으로 나누어서


다시 한 번 되짚어 보면서 소비 트렌드와 관련해서

어떤 다양한 이슈들이 있었는지, 향후 전망은

어떻게 되는지에 대해 알 수 있었다.


2022년의 소비트렌드에 대해 언급하기 전에

정치, 경제, 사회, 미디어 등 각 분야에서 

어떤 변화가 일어날 것인지에 대한

 전반적인 전망을 한 뒤에,


2022년 소비 트렌드로 '나노사회, 머니러시,

 득템력, 러스틱 라이프, 헬시플레저, 

엑스틴 이즈 백, 바른생활

루틴이, 실재감테크, 라이크커머스, 

내러티브 자본' 을 제시한다.


코로나로 인해 언택트 시대가 본격화 되면서

우리의 일상 생활의 변화와 함께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분야가 무엇인지,


코로나19로 인한 사람들의 생활 패턴이

급격하게 바뀌면서 기존의 소비 트렌드와 

삶의 방식이 어떤 형태로 변화를 

겪게 되었는지 알 수 있었다.


'트렌드 코리아 2022' 를 통해 각 세대의 

성향, 특징 뿐 아니라 각 세대들이 우리나라 사회, 

경제, 문화, 소비 시장에서 얼마나 

다양한 변화를 만들어내고 있는지, 

어떻게 소비하고 있는지, 

어떻게 인간관계를 형성하는지,


어떤 걱정과 고민을 가지고 있는지, 

어떻게 소통하는지, 사회적인 문제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고 참여하고

 있는지 자세히 알 수 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