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공리주의 ㅣ 현대지성 클래식 31
존 스튜어트 밀 지음, 이종인 옮김 / 현대지성 / 2020년 6월
평점 :

'공리주의' 는 존 스튜어트 밀의 공리주의
사상에 대해 자세히 알 수 있는 책이다.
책은 총론, 공리주의란 무엇인가,
공리의 원리의 궁극적 제재에 대하여,
공리의 원리는 어떤 증명을 내놓을 수 있는가,
정의와 공리의 상관관계에 대하여로 구성되어 있다.
공리주의는 공리성을 가치 판단의 기준으로 하는 사상으로
곧 어떤 행위의 옳고 그름은 그 행위가 인간의 이익과
행복을 늘리는 데 얼마나 기여하는가 하는
유용성에 결과에 따라 결정된다고 보고
넓은 의미에서는 효용, 행복 등의 괘락에 최대의
가치를 두는 철학과 사상을 의미하기도 한다.
'만족한 돼지보다는 불만족한
인간이 되는 것이 더 낫고,
만족하는 바보보다는 불만족한
소크라테스가 되는 것이 더 낫다' 는
익숙하게 알고 있는 이 말이 뛰어난 재능의 사람은
불완전함이 있다고 해서 욕망에 충실한
저급한 사람을 부러워하지 않는데
저급한 사람은 불완전함을 전혀 의식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의식하는데서 나오는 선을 전혀 느끼지 못하면서
문제를 자기들의 입장이나 관점에서만 바라보지만
뛰어난 사람은 문제의 양쪽을 본다는점을
의미한다는점을 이해할 수 있었다.
타인을 위해 자신의 최대 행복을 희생하는 힘이
인간에게 있다고 인정하지만 그런 희생이
선함이라는 데 동의하지 않고 행복의 총량을
늘리지 않거나 늘릴 것 같지 않은 희생은 헛된다는점에서
공리주의에서의 자기 헌신은 오직 행복에
기여하는 것이고 인류 전체이든,
인류의 집단적 이익이 고려된 개인이든
타인의 행복이나 그 행복의 수단에
기여하는 일이라는 존 스튜어트 밀의 사상을
중요하게 생각해야 할 것 같다.
고등학교 윤리 과목을 통해
서양 철학의 개념과 철학자들을 처음 접했다.
철학자, 사상가들의 이름과 함께 그들의
주요 철학인 ~론, ~주의, ~사상 등과
하나의 철학이 오랜 시간동안
여러 철학자들에 의해 계승되면서
새롭게 정립 해 나간 학파들의 이름을 외우고
시험을 위해서만 공부했었다.
그래서 서양철학을 복잡하고 어려운 것으로 여기고,
공리주의 역시 '최대다수의 최대행복' 정도로만 알고 있었는데,
현대지성의 '공리주의' 를 통해 공리주의 개념과
공리의 원리를 어떻게 증명할 것인지,
정의와 공리가 어떤 상관관계를 갖는지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