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께 걸어갈 사람이 생겼습니다 - 비야·안톤의 실험적 생활 에세이
한비야.안톤 반 주트펀 지음 / 푸른숲 / 2020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함께 걸어갈 사람이 생겼습니다' 는 

한비야와 남편 안톤 부부가 익숙하지 않은

새로운 방식으로 살아가는 이야기를 담은 책이다.


울창한 숲이 그려져 있는 표지에 두 사람이 

나란히 걷고 있는 표지가 인상적이었고,


책 겉면에 적여 있는 

'함께하는 시간은 행복하고 

혼자 있는 시간은 충분히 자유롭다' 라는 말이

책과 어떤 연관성을 가지고 있을지 궁금했다.


바람의 딸 걸어서 지구 세바퀴 반, 지도 밖으로 행군하라, 

바람의 딸 우리 땅에 서다, 한비야의 중국견문록을 

비롯하여 수많은 책의 저자이자 세계 여러 지역의 

재난 현장에서 일해온 국제구호 전문가로 

익숙하게 알려져 있는 한비야가 혼자가 아닌 

남편과 함께 쓴 책이라는점에서 

많은 기대감을 갖고 읽었다.


아프가니스탄 구호 현장에서 팀장과 팀원으로 

처음 만난 두 사람은 멘토, 친구, 연인 사이로 

지내다가 부부가 되었는데, 남편은 네덜란드 사람은

이름은 안톤이라는 점을 알 수 있었다.


결혼 후 한 집에서 함께 살아가는 것이

일반적인 부부들이 생활하는 방식인데,


결혼 한 지 이제 3년차 밖에 되지 않은 

두 사람이 살아가는 방식이 조금 특이했다.


한 명은 은퇴하고 한 명은 사회활동을 

활발히 하는 중이라는 자신들의 상황에 맞게 

'따로 또 같이' 방식을 추구하고, 


각각 매우 독립적으로 살아와서 함께 보내는 

시간만큼이나 혼자 있는 시간 또한 소중히

생각하기 때문에 결혼은 했으나 항상 같이

살지 않는 자발적 장거리 부부로 지내는 것이 놀라웠다.


1년 중 3개월은 네덜란드에서, 

3개월은 한국에서 같이 지내고 

나머지 6개월은 따로 지내는,

'336타임' 으로 결혼 생활을 하는 것이다.


우리의 ‘따로 또 같이’ 결혼생활, 

오늘도 계획중, 네덜란드 서울댁 한국 안 서방, 

혼자 있는 힘, 함께하는 힘으로 나누어서


이야기하는 두 사람의 모습을 통해 국제부부이자

장거리 부부로 살게되면 저런 상황들이

일어날 수 있구나, 저런 감정이 생길 수 있구나,


멀리 떨어져 있지만 저렇게 서로를 

위로하고 격려하면서 살아갈 수 있구나 등.

 

그동안 접해보지 못했던 새로운 부부의 

생활방식을 가지고 있는 한비야, 안톤 

부부만의 낯설지만 다양한 모습을 알 수 있었고,

공감가는 부분들도 있어서 몰입해서 읽을 수 있었다.


한 사람이 자신의 입장만 대변해서 쓴 글이 아니라

장거리 커플이자 336타임으로 결혼생활을 하고 있는

한비야와 안톤 두사람이 각각의 입장에서 어떻게 행동하고, 

생각하고 느끼고 있는지에 대해 자세히 이야기 하기 때문에

각각의 상황과 감정을 좀 더 자세히 이해할 수 있었다.


결혼 생활 중에는 사소한일로 인한 다툼이 반복되고,

결혼이라는 틀에 맞추어서 생활이 이어지다보니

자신만의 제대로 된 시간을 보내지 못하고,

어느 순간 서로에게 무감각 해지는 경우가 있다.


하지만 이런 문제를 어떻게 해결 해야하는지,

지금보다 좀 더 나은 사이로 만들려면 

어떻게 해야하는지 잘 모르는 경우가 많다.


'함께 걸어갈 사람이 생겼습니다' 를 통해 

각자의 독립적인 삶을 존중하면서 결혼생활과의 

균형을 적절하게 잘 맞춰서 생활하고 있는 

두 사람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고,


속박하는 부부의 삶이 아닌 서로를 응원하면서

혼자, 그리고 함께하는 삶을 잘 지키면서

생활하는 것이 중요하는 생각이 들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