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자학과 양명학 이와나미 시리즈(이와나미문고)
시마다 겐지 지음, 김석근 옮김 / AK(에이케이)커뮤니케이션즈 / 2020년 10월
평점 :
품절



'주자학과 양명학' 은 

책제목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중국의 중요한 사상인 주자학과 

양명학에 대해 이야기하는 책이다.


우리는 누구나 행복한 삶을 살고 싶어하고, 

행복을 느끼기 위해 여러 노력을 한다.

하지만 우리는 우리가 어떨 때 행복을 느끼는지,

어떻게 하면 제대로 살 수 있는지, 생활하면서 겪는 

여러가지 문제를 어떻게 해야하는지에 대해 잘 모른다.


이렇게 삶을 살아가면서 겪게 되는 

여러가지 고민에 대한 해답을 제시 

해 줄 수 있는 것이 바로 '철학' 이고,


특히 우리나라에 많은 영향을 끼쳤던 

사상이 바로 '주자학' 과 '양명학'  

제대로 이해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주자학과 양명학' 은 새로운 철학의 출발,

송학의 완성- 주자학, 양명학의 성립과 전개로

나누어서 주자학과 양명학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기 때문에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이 됐다.


같은 유학이면서 주자학과 양명학은

현실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방식과 

견해가 다르다고 할 수 있는데, 


주자학과 양명학의 차이점에 대해 이야기할 때

자주 언급되는 것이 성즉리와 

심즉리라고 하는 것은

리학과 심학이 구분되기 때문이다.


주자는 '성은 리이다. 심에 있는 것을 '성' 이라하고,

모든 사람과 상태에 있는 것을 '리' 라고 한다' 고 하였다.


주자는 사람이 태어나기 이전에 이미 존재하는 성,

즉 본체로서의 성을 대상으로 하는 것인데,

이것이 곧 본연의 성이고, 


성의 본래 상태를 말한 '성은 사람이 태어나면 

품수받은 천리이다' 라는 말에 따를 때

인간의 성은 다름 아닌 하늘의 '리' 라는점과


주자는 사람과 사물이 형성될 때 거기에 리가

천으로부터 부여 되어 깃들인다고 생각하였고,

사람의 경우 그것이 사럼의 본성이라는 것에서


성즉리는 성이 심에 내재한 '리' 이고,

본래 성의 본체인 리는 인, 의, 예, 지, 신으로

각각의 경계가 있고 성정, 체용의 구별도 인으며

인과 의라는 경게가 있다는점을 이해할 수 있었다.


왕양명은 사물의 이치와 인간의 마음을 둘로

나누는데 문제가 있음을 깨닫고 자신만의

이론체계를 확립하면서 도덕원리르 마음 밖에서

찾는 것을 반대하고 격믈에 대한 해석을 

주희와 다르게 했다는점을 알 수 있었다.


성만을 '리' 로 보고 마음을 인식주체로 보는

주자와는 달리 양명은 마음이 곧 '리' 이며

마음이 곧 성이라하여 마음과 리와 성을 한가지로

보았다는점에서 양명학에서는 주자학과 달리 

대상 사물에 있는 것이 '리' 가 아니라 

마음이 사물에 있는 '리' 가 된다고 보았고,


그렇기 때문에 인간이 가지고 있는 마음,

본심이 사사로운 욕심으로 인해서 훼손될 수 있기 때문에

자기 성찰을 통해서 사사로운 욕망을 제거하고

본심을 회복하고 이러한 본심이 실현 될 수 있도록

노력을 정진해야 한다는점을 배울 수 있었다.


'주자학과 양명학' 을 통해 

주자학과 양명학이 성립되는 과정과 

어떤 사상을 가지고 있는지

같으면서도 어떻게 달랐는지에 대해 

좀 더 쉽게 이해할 수 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