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의 척도
마르코 말발디 지음, 김지원 옮김 / 그린하우스 / 2020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갈색 배경 가운데 책이 그려져 있고,

왼쪽에 레오나르도 다 빈치와 

가운데 날개가 있는 표지가 

인상적으로 느껴졌고, 


책 제목인 '인간의 척도(THE MEASURE OF MAN)

어떤 연관성을 가지고 있을지 궁금했다.


무엇보다 레오나르드 다 빈치 

사후500주년 기념작이라는점에서 

기대감을 가지고 읽을 수 있었다.


소설 내용을 살펴 보면,


1493년 밀라노는 경제적인 호황과 정치적으로 

안정된 상황이었고, 레오나드도 다 빈치는 

피렌체를 떠나 밀라노로 이주하게 된다.


당시 이탈리아는 도시 국가로 나누어져 

있었고, 밀라노는 서자 출신의 루드비코

일 모로 공작이 다스리고 있었다.


밀라노로 이주하게 된 다 빈치는

모로 공작의 지원을 받으면서  


궁중 파티 준비, 토목 공사, 기계 설계, 

그림 그리기 등 다양한 일을 하게 된다.


그러던 어느날 다 빈치의 옛 제자인

람발로 치티가 모로 공작의 

성 안에서 죽은 채로 발견된다.


람발로 치티가 죽기 전에 공작을 만났다는 

사실이 알려졌고, 공작은 공국 사람들에게

공포를 심어주지 않겠다는 

이유로 비밀로 감추려한다.


공작의 요청을 받아 시체 검사를 하게 된

다 빈치는 갈비뼈가 조이면서 질식사한 

누군가에 의해 죽임을 당했다는 사실을 밝혀낸다.

그리고 본격적으로 사건을 해결하기 위해 조사하게 된다.


기존의 추리 소설에서 보았던

빠른 전개, 사건을 하나씩 해결 해

나갈 때의 쾌감은 쉽게 느끼기 어렵다.


처음부터 등장인물에 대한 소개가 길게 

이어지고, 길고 낯선 이름 때문에 

누가 누구였는지 헷갈리는 경우도 있었다.


그리고 책 중간 중간 스토리와 상관없이 

작가가 현대적 상황에 대해 

이야기하는 부분 역시 조금 아쉬웠다.


다만 레오나르도 다 빈치가 주인공인 

소설인만큼 당시의 밀라노의 시대적 배경과 

환경에 대한 설명히 자세히 되어 있고, 


다양한 등장인물들의 행동과 성격, 

표정, 사고방식, 배경이 디테일하게 

잘 묘사 되어 있어서 다양한 감정을 

느끼면서 몰입 할 수 있었다.


소설 속 인물들의 상황들을 영화를 

보는 것처럼 자연스럽게 머릿 속으로 

그려가면서 읽을 수 있었다.


더불어 천재로 여겨지는 다 빈치의 

일상적인 모습을 역사적인 팩트와

저자의 상상력을 더해서 

표현하기 때문에 흥미로웠다.


전혀 생각하지 못했던 전개들이 이어지면서 

다음 장에서는 어떤 스토리가 이어질까에 대한

기대감을 가지고 읽을 수 있었다.


다 빈치가 "사람은 누구나 실수를 한다. 

다만 그 실수의 과정을 이해하고,

어떻게 고쳐나갈지 방법을 알아내는 것,

쓰러지더라도 다시 일어설 수 있는 

힘을 갖는 것이야말로 바로 

'인간의 척도' 다라고 한 것처럼 


'인간의 척도' 를 통해 

우리가 익숙하게 알고 있는 천재 이미지의 

레오나르도 다 빈치가 아닌 좀 더 

인간적인 모습의 다 빈치를 볼 수 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