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경영 전략의 역사 - 손자병법부터 AI전략까지 전략의 핵심을 한 권에! ㅣ CEO의 서재 22
고토사카 마사히로 지음, 김정환 옮김 / 센시오 / 2020년 4월
평점 :
사업의 방향성과 목표를 정해야하는 CEO,
기업 임원들, 각 팀을 총괄하는 팀장 등
조직을 이끌어가는 리더들이 존재한다.
리더에 의해서 기업, 조직 전체의 분위기가 달라지고
리더가 어떤 목표와 계획을 세우고,
방향성을 결정하느냐에 따라서
기업이 성장하기도 하지만,
리더의 잘못 된 전략으로 인해
기업이 큰 위기에 빠지기도 한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 기업에게 맞는
경영 전략을 수립하고 실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리고 수많은 전략 중 우리 기업에 맞는
방법을 찾고 실현하기 위한 답을 얻기 위해서는
경영 전략의 발전과정을 제대로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경영 전략의 역사' 은 책 제목처럼
경영 전략의 탄생과 발전과정에 대해
이야기하는 책이다.
경영 전략의 형성, 겅영 전략 이론의 완성,
경영 전략의 현재, 경영 전략의 미개척지로
나누어서 경영 전략의 전체적인 흐름과
발전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경영 전략의 기본적인 정의는
'특정 조직이 어떤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외부 환경 분석과 내부 환경 분석을 통해
만들어낸 경로' 라고 말한다.
먼저 경영 전략의 기원이라고 할 수 있는
고대 그리스시대에서부터 19세기 들어
영리 조직이 대규모로 성장하고
그 구조가 복잡해지면서 경영자의 감과
경험에만 의지할 수 없는 시대가 되면서
본격적으로 경영 전략의 원형이 급속하게
성장하고 체계화되기 시작했다는 점을 설명한다.

1960년대 후반 경제가 안정적으로 성장하던 시대가
멈추고 불확실성이 높아지면서 경영 전략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여러 경영 전략의 전문가들의 등장과 함께
경험 곡선, BCG매트릭스, 다섯가지 힘 분석과
같은 경영 전략론이 각광받았지만,
외부 환경 분석만으로 전략을
세우는 방식은 한계를 드러냈고,
기업 내부의 요인을 파악하고
이론화하는 자원기반 관점이
등장하게 되었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사업 전략은 외부 환경과 내부 환경
분석을 바탕으로 경쟁 우위를 확립하고
수단을 논의하는 것이라는 점과

기업의 환경과 조직 특성에
적합한 프레임워크를 선택 해야하고,
분사된 형태의 여러 조직체가 함께
효율적으로 연계할 수 있도록
전사의 개념을 어떻게 파악하고
어떤 전략을 사용해야 할지는
논의해야한다는 점이 중요하게 느껴졌다.
현대는 세미글로벌리제이션의 시대이기 때문에,
통합과 적응 사이에서 최적의 균형을 찾아내는 것이
국제경영 전략의 근본적인 과제이고,
국경을 초월한 조직과 전략이 필요하고,
기술 발전은 다양한 경로를 통해
경영 전략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
제도와 관행에 유연성을 갖추도록
미리 대비해야한다는 점을 잊지 말아야겠다.
'경영 전략의 역사' 에 담긴
수많은 경영 전략을 제대로 이해하고,
현재 본인의 기업과 조직의 상황에 맞게
제대로 잘 활용한다면 최적의 경영 전략을
수립, 실행할 수 있을 것 같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