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 엔젤의 마지막 토요일
루이스 알베르토 우레아 지음, 심연희 옮김 / 다산책방 / 2019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노란색 배경에 날개의 모습이 있고,

그 가운데에 멕시코 모자로 불리우는

솜브레로가 배치되어 있고

맨 아래에 집들의 모습이 그려져 있는

표지와 'THE HOUST OF BROKEN ANGELS'라는

영문의 제목이 눈에 띄었고, 소설 속 내용과 

어떤 연관성을 가지고 있을지에 대한 기대감이 들었다.


책 겉면에 '세상에서 가장 소란스러운 죽음을 준비하는 

빅 엔젤말도 많고 탈도 많은 대가족을 불러 모으다' 라고 

적혀 있는 것이 책 제목 '빅 엔젤의 마지막 토요일' 의 

중요 스토리를 의미하는 것 처럼 느껴졌고 

무슨 내용을 담고 있을지 궁금했다.


뉴욕타임스 주목할 만한 책, 뉴욕도서관 올해의 추천도서,

전미도서비평가협회상 최종후보에 올랐던 

책이라는 점에서기대감을 가지고 읽었다.


책은 정신이 혼미해진 장례식, 그때, 

기념일, 그 후로 구성되어 있다.



데 라 크루스 집안의 존경받는 가장인 미겔 엔젤을 

가족들은 애정을 담아 빅 엔젤이라고 부른다.

그는 올해로 일흔 번째 생일 맞이하는데,

의사로부터 그가 암에 걸렸고, 남은 시간이

 한 달밖에 되지 않는다는 소식을 듣는다.


빅 엔젤은 자신의 마지막 생일을 성대하게 치루기 위해 

미국 전역에 흩어져 사는 가족들을 불러 모으지만

 생일 파티 1주일을 앞두고 100세 어머니가 돌아가신다.


가족들이 장례식과 생일파티를 위해 두 번이나

 먼 길을 올 시간과 비용이 없다고 생각한 빅 엔젤은 

어머니의 장례식을 일주일 미루어 

자신의 생일파티와 함께할 수도 있도록 한다. 

그리고 장례식날 아침 해가 중천에 떴고 

지각했다는 생각에 걱정을 하는데, 

가족들은 아직도 잠을 자고 있었다.



생각하지 못했던 전개들이 이어지면서

다음 장에서는 어떤 스토리가 

이어질까에 대한 기대감으로 읽을 수 있었다.


다양한 인물들의 행동과 표정, 

배경이 디테일하게 잘 묘사 되어 있어서

인물들의 상황을 자연스럽게 머릿 속으로 

그려가면서 읽을 수 있었고,

멕시코의 문화와 정서를 느낄 수 있었다.


멕시코 대가족을 배경으로하고 다양한 인물들이

등장하기 때문에 처음에는 읽는데 어려움을 느꼈지만,

상황, 상황마다 재미있는 부분도 있었고,


빅엔젤이 헤어져 있던 가족들과 다시 만나서

일어나는 일들과 동생들과 이야기를 나누면서 

사과를 하고 가족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을 통해

과거 우리나라 대가족의 모습과 장남의 역할이 

자연스럽게 연상되면서 공감할 수 있었고, 따뜻함이 느껴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