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트렌드 코리아 2020 - 서울대 소비트렌드분석센터의 2020 전망
김난도 외 지음 / 미래의창 / 2019년 10월
평점 :
4차산업혁명의 이슈가 시작된지 꽤 시간이 지났고,
지금도 세상은 빠르게 변하고 있다.
그리고 빠른 변화의 속도를 따라잡는 것은 쉽지 않다.
최근엔 각 세대마다 가지고 있는 특징이 다양하고,
스마트 기술의 발전과 함께 소통 채널
역시 많아지면서,트렌드라는 말이 무색 할 정도
세상의 흐름이 빠르게 변하고 있다.
연말이 되면 새해 트렌드를 예측하는 책들이 많이 출간된다.
그러나 그 책들은 새로운 이야기 보다
현재 유행하고 있는 상황들에 대한 내용들 바탕으로해서
이미 지나버린 트렌드거나 너무 범위가
넓어서 공감되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
'트렌드 코리아 2020' 은 서울대 소비트렌드분석센터의
다양한 조사와 데이터 분석을 바탕으로
2020년 소비 트렌드에 전망하는 책이다.
현재 우리 삶의 여러 분야에서 일어나고 있는
기술 변화와 함께앞으로의 미래의 모습,
글로벌 트렌드에 대해 이야기 하는 책이다.
매년 '트렌드 코리아' 를 통해
새로운 한 해의 전망을 예측하는데
많은 도움을 받았기 때문에
이번 책 역시 기대감을 가지고 읽었다.
먼저 2019년의 소비트렌드였던
컨셉을 연출하라, 세포마켓, 뉴트로, 필환경시대,
감정대리인, 데이터 인텔리전스, 공간의 재탄생,
밀레니얼 가족, 나나랜드, 매너 소비자에 대해
다시 한 번 되짚어 보면서 소비 트렌드와 관련해서
어떤 다양한 이슈들이 있었는지, 향후 전망은
어떻게 되는지에 대해 알 수 있었다.
2020년의 소비트렌드에 대해 언급하기 전에
정치, 경제, 사회, 미디어 등 각 분야에서
어떤 변화가 일어날 것인지에 대한 전반적인 전망을 한 뒤에,
2020년 소비 트렌드로 '멀티 페르소나, 라스트핏 이코노미,
페어 플레이어, 스트리밍 라이프, 초개인화 기술, 팬슈머,
특화생존, 오팔세대, 편리미엄, 업글인간' 을 제시한다.
특히 '멀티 페르소나' 는 현대인들이 상황에 따라 가면을 바꿔 쓰듯
다양한 정체성을 가지게 됐다는 트렌드로, 2020년 10대 키워드의 가장
중요한 세 축인 '세분화' , '양면성' '성장' 을 고루 포함하고
있다고 해서 다른 키워드들과 관련된 내용보다 더 집중해서 읽었다.
'트렌드 코리아 2020' 을 통해 각 세대의 성향, 특징 뿐 아니라
각 세대들이 우리나라 사회, 경제, 문화, 소비 시장
에서 얼마나 다양한 변화를 만들어내고 있는지,
어떻게 소비하고 있는지, 어떻게 인간관계를 형성하는지,
어떤 걱정과 고민을 가지고 있는지, 어떻게 소통하는지,
사회적인 문제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고
참여하고 있는지 등에 대해 자세히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