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내가 왜 이러나 싶을 땐 뇌과학 - 뇌를 이해하면 내가 이해된다
카야 노르뎅옌 지음, 조윤경 옮김 / 일센치페이퍼 / 2019년 10월
평점 :
여러 사람들과 만나서 이야기를 나누다가,
나 이런 적 있었어라고 말하면, 나도, 나도 하면서
다른 사람들 역시 그 상황과 느낌을 공감하는 경우가 많다.
또, 일상생활을 하다가 문득 어떤 상황이
일어나거나, 느낌을 받았을 때, 이거 왜 그런거지,
나한테만 일어나는 상황인가? 라는
생각이 들 때가 있다.
우리가 왜 이런 말과 행동을 하는지,
왜 이런 마음이 생기는지, 어떻게 우리가
이런 판단을 할 수 있는건지 이유를 알고 싶지만
누구에게 물어 봐야 할 지 모르고,
정확한 답을 구하기 어렵다.
'내가 왜 이러나 싶을 땐 뇌과학' 은
우리의 모든 말과 행동, 생각을 조종하는
뇌에 대해 쉽게 이해 할 수 있도록 설명하는 책이다.
책은 뇌의 진화, 성격, 기억력과 학습, 뇌 GPS, 감정,
지능, 다른 문화 같은 뇌, 밥상 위 뇌과학,
중독, 지각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뇌의 기능 뿐만 아니라 여러가지
상황 속에서 뇌가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에 대해 새롭게 알 수 있었다.
뇌의 여러 영역이 협업한다는 부분이 가장 흥미로웠다.
전두엽은 움직임을 비롯해 우리가
어떤 결정을 하거나 판단을 내리는데 큰 역할을 하고,
두정엽은 촉각, 측두엽은 기억력, 후각, 청각
후두엽은 시각, 소뇌는 성격 특성을 조절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런데 이 감각은 어느 부분에서만
담당한다고 말하는 건 정확하지 않고
뉴런이 제대로 자기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일종의 네트워크를 형성해야한다고 한다.
뇌의 여러 영역이 협업하기 때문에
인간은 모든 것을 분석하고 행동의 결과를
이해 할 수 있으며 미래 계획을
세울 수 있는 능력을 가지게 되었다는 점,
그래서 인간은 학자, 예술가처럼
다양한 능력을 발휘 할 수 있다는 점이 흥미로웠다.
저자가 신경전문의로 일한 경험과 뇌의 조직,
매커니즘, 기능에 대해 오랫동안 연구한 내용을 바탕으로
뇌 그림과 함께 뇌의 구조, 이름, 기능을 함께 설명하기 때문에
뇌가 가진 수많은 기능과 역할에 대해 쉽게 이해하면서 읽을 수 있었다.
그동안은 심리학 관련 책들을 통해
인간의 말과 행동, 생각에 대해 알 수 있었는데,
'내가 왜 이러나 싶을 땐 뇌과학' 을 통해
우리의 모든 말과 행동, 생각을 하는데있어
뇌가 얼마나 큰 역할을 하는지에 대해 새롭게 배울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