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면의 역사 - 평평한 세계의 모든 것
B. W. 힉맨 지음, 박우정 옮김 / 소소의책 / 2019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최근 몇 년 사이에 지구가 공 모양이 아니라 

동전처럼 생겼다는 평면지구론이 갑자기 등장하기 시작했다.


SNS에서는 개신교 근본주의 소수 종파나 

하레 크리슈나 계열의 힌두 영성주의자들, 음몬론자들 뿐 아니라 

나름에 과학적 증명과 실험을 제시하는 사람까지 

다양한 스타일의 평면지구론자들을 접할 수 있다.


2018년 8월 ‘사이언티픽 아메리칸’ 지는 평면지구론자 

비율을 과장한 온라인 조사를 검산했는데, 

지구가 구형이라고 확신하는 미국인은 85%가량, 

평면지구론 확신자는 2% 내외였다. 

나머지는 확신이 없는 사람들이었다. 


넷플릭스와 NGC채널에서는 평면지구론을 

다룬 다큐멘터리를 방영하기도 했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평면 지구론과 관련된 

주장을 황당하고 어이없게 생각하지만 

극소수의 사람들은 혹시나 하는 마음을 가지고 있다.



'평면의 역사' 는 우리에게 너무나 익숙한 평면의 모습을

다양한 관점으로 분석하는 책이다.


책은 평평함의 세계, 평면을 어떻게 받아들여야 하는지,

지구는 정말로 둥근지, 평평한 곳에 설면, 왜 평평하게 만들어지,

평평한 운동장이 낳은 것들, 평평한 물질들, 

그림은 평면화를 넘을 수 없는지, 평면성의 명암으로 구성되어 있다.



평면이 가지고 있는 일반적인 개념과 

각 나라의 언어와 문화가 반영되면서

얼마나 다양한 의미와 사용법을 가지고 있는지 알 수 있었다.


저자는 우리가 규모와 시각의 차이 때문에 

평면을 모호하게 인지하다고 말한다.

바다 위에서 배는 평평한 대양 위에 떠 있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실제로는 곡선이지만 착각하여 평평하게 보이는 것이고, 

우주에서 지구의 둥근 모습을 바라보면 평면성이라는 개념이 사라진다. 

이처럼 우리가 개미나 기린의 시각으로 보면 표면은 

상당히 다른 경험으로 다가 올 것이라는 것이다.


사물은 규모와 시각에 따라 달라 보이기 때문에 

평면의 공간적 개념이 은유적이고 철학적이며

종교적인 의미를 띨 때 물질세계와 마찬가지로 

모호성이 존재 할 수 있다는 점이 인상적이었다.


'평면의 역사' 를 통해 우리가 일상에서 보내는 

수 많은 공간과 움직일 때 밟는 땅, 하루에 수십번씩 만지는 물건 

모두 평면으로 되어있고, 자연 그대로가 아닌 

모두 계획되거나 설계 되었다는 점을 상기 할 수 있었고,

 평면이 가지고 있는 가치에 대해 새롭게 생각 할 수 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