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사회 2.0 - 분권화 트렌드와 미래 한국
이근 외 지음 / 21세기북스 / 2019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4차산업혁명의 이슈가 시작된지 꽤 시간이 지났다.

그동안 세상은 빠르게 변했고, 

빠른 변화의 속도를 따라잡는 것은 쉽지 않다.


최근엔 각 세대마다 가지고 있는 특징이 다양하고, 

스마트 기술의 발전과 함께 소통 채널 역시 많아지면서,

트렌드라는 말이 무색 할 정도 세상의 흐름이 빠르게 변하고 있다.


변화된 디지털 환경에 새로운 디지털 기술과 

새로운 디지털 서비스,새로운 고객가치로 무장한 기업들이 

기존 시장을 파괴하고 새롭게 정의하고 있다.


'디지털 사회 2.0' 은 분권화 된 트렌드에 따라서 

바뀌게 될 미래 한국의 모습을 이야기 하는 책이다.


저자들은 4차 산업 혁명으로 시작 된 새로운 기술이 만드는 미래사회의

기본 모습이 좀 더 '분권화된 인간 중심의 디지털 사회' 가 될 거라고 보고,

4차 산업혁명으로 상징되는 사회 모든 분야의 디지털 전환을 

디지털 사회 2.0이라고 정의하고, 디지털 기술로 인한 

정치, 경제, 사회 분야의 구조적인 변화가 어떻게 이루어질지 전망한다.


책은 들어가며, 7장의 주제, 맺음말로 구성되어 있다.


미래 한국사회가 지향해야 할 디지털 사회의 비전을

정치, 경제영역(기업, 일자리, 금융), 

사회 인프라적 영역(교육, 헬스케어, 도시) 등 

7가지 영역으로 나누어서 


각 영역별로 7명의 전문가들이 미래 한국사회가 지향해야 할 

디지털 사회의 비전과 이를 실현하기 위한 기술, 디지털 인프라의 변화, 

새로운 사회안전망, 소프트인프라 및 정책 변화,

 해결해야 할 규제나 과제 등에 대해 설명한다.


'정치 분야' 의 비전은 시민과 유권자 중심의 좀 더 분권화 된 정치,

'기업 분야' 의 비전은 과업 중심의 개인기업과 소호경제의 출현,

'일자리 분야' 의 비전은 자발적 계약직, 

외근 정규직 등 다양한 새일자리의 출현,

'금융 분야' 의 비전은 블록체인에 기반하여 P2P형의 분권화된 

가상화폐와 ICO가중심이 되는 금융체제다.


'교육 분야' 의 비전은 학생 중심의 하이터치 하이테크 교육을 하는 것,

'헬스케어 분야' 의 비전은 환자 중심의 

좀 더 민주화된 맞춤형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

'도시 분야' 의 비전은 주민 중심의 혼합현실에 기반하기에 

하드웨어 변경이 필요 없는 스마트시티와 스마트리빙이다.


단순히 이론적인 설명이 아니라, 수치화 된 자료와 

다양한 사례를 통해 설명하기 때문에,

각 영역별로 우리사회가 어떻게 변할 것인지, 

그리고 이것이 제대로 실현되기 위해서는 

어떤 것들이 필요하고 사라져야 하는지에 대해 자세히 알 수 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