좁은 문 별글클래식 파스텔 에디션 19
앙드레 지드 지음, 박효은 옮김 / 별글 / 2019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작가 '앙드레 지드' 와 '좁은 문' 에 대해서는

여러 채널을 통해 들어왔기 때문에 익숙했지만

앙드레 지드가 어떤 작가인지, 그의 대표작인 '좁은 문' 이 

어떤 내용을 담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자세히 모르고 있었다.


이번 기회를 통해 앙드레 지드가 어떤 작가였는지

찾아 보게 되었고, 대표작인 '좁은문' 을 읽게 되었다.


'좁은 문' 은 제롬과 그의 외사촌 누이 

알리사의 금욕적이고 비극적인 사랑을 그렸다.


어느 날, 외삼촌 집에 간 제롬은 그곳에서 사촌 누나인 알리사를 만난다. 

한편, 제롬의 외숙모가 바람이 나 가출하자, 

제롬은 홀로 남은 알리사를 보고 세상의 고난과 공포로부터 

지켜줄 사람은 자신밖에 없다고 생각한다.


알리사에 대한 사랑으로 가슴이 벅차오르는 제롬은

그녀를 사랑하는 것만이 자신의 존재 이유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알리사는 제롬을 사랑하면서도 그녀의 여동생 쥘리에트가 제롬을

사랑한다는 이유로 제롬의 마음을 온전히 받아들이지 못한다.


알리사는 자신의 속마음을 감춘 채 

‘좁은 문’ 을 통해 천국에 들어가고자한다는 

종교적인 이유를 들어서 제롬의 적극적인 사랑을 거부하고, 

오랫동안 제롬과 쌓았던 추억들을 하나씩 지워간다. 


 제롬은 사랑이 이루어질 수 없는 현실에 고통스러운 날들을 보내게 된다.

제롬은 도피하듯 바로 아테네 학교에 입학하게 되고, 

3년 후 알리사를 다시 만나게 된다. 

알리사의 야위고 창백한 모습을 보면서 제롬은 고통스러움을 느낀다. 


안 읽은 사람을 생각해서 내용은 이정도로 설명한다.


앙드레 지드는 이 작품을 통해 종교를 향한 지나친 자기희생의 위선,

이원론적인 기독교 세계관을 비판하면서 출간 당시 

‘프랑스어로 쓰인 가장 아름다운 소설’ 이라는 극찬과 

‘병적이고 건강하지 못한 문제작’이라는 혹평을 함께 받으며 

프랑스 사회에 커다란 파장을 불러일으키면서 베스트셀러가 되었다.


앙드레 지드가 이 작품을 구상하고 집필하는데

 18년이라는 기간이 걸렸다고한다. 그만큼 그의 어떤 작품보다도 

오랜 시간 심혈을 기울인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 노력을 기울인 작품이어서 그런지, 

앙드레지드는 1947년 노벨 문학상을 수상하였다.  


워낙 잘 알려진 작품이고, 어떤 내용인지 궁금해서 읽기는 했지만

종교적인 규범과 원칙에 대해 잘 모르고 당시의 프랑스 사회와 문화에

대해 잘 모르기 때문에 이해 되지 않거나 어렵게 느껴지는 부분들이 많았다.


어떻게 결말이 이루어질지 예상 할 수 없었는데,

제롬의 쓸쓸함과 아쉬움이 느껴지는

결말이라서 안타깝게 느껴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