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년의 질문 1
조정래 지음 / 해냄 / 2019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조정래 작가는 ' 천년의 질문' 을 통해 

국민에게 국가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대한 답과 

국민의 의무와 권리에 대해 이야기 한다..


천년의 질문 출간 전 오디오북을 통해 

1권 전체를 접했기 때문에 

1권을 쉽고 빠르게 읽을 수 있었다.


오디오북으로 듣던 내용들을 책을 통해 읽어봤을 때,

소설 내용들이 자연스럽게 머릿속에 연상되었다.


책은 우리 사회의 양극화, 소득분배에 대한 문제,

빈부격차를 심화 시킨 거대 재벌과 정치권력, 언론, 

사법권력에 대한 적나라한 묘사가 그대로 담겨 있다.


1권은 독립 투쟁하듯이 기자생활을 하는 

시사 주간지 <시사포인트> 심층추적팀 장우진 기자가

성화그룹의 비자금을 가지고 사라진 사위 김태범을 추적해가는 과정과 

이를 무마시키려는 거대 재벌과 정치권력, 

비자금을 가지고 사라진 사위 김태범에 대한 이야기, 

대기업과 정치권력의 유착, 신체적 장애를 가지고 있는 여성에게

 범죄를 저지른 사장에 대한 재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시사주간지의 기자가 사건을 

대기업의 비자금 사건 등을 파헤치는 과정을 통해 

거대 재벌과 정치 권력, 사법권력, 언론의 부도덕함을 

가감없이 아주 자세하게 그리고 있다.





심각하게 몰입해서 읽고 있었는데, 

이 부분과 취재 과정 중 덤프 트럭이 자신을 위협했다라는 부분을 보고

어디서 많이 들어 본 이야기인데라고 생각했었다.


주진우 기자가 방송에 나와서 가수 이승환과의 관계를

이야기 하면서 했었던 내용과 비슷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찾아보니 조정래 작가의 인터뷰 중 

소설의 주인공인 <시사포인트> 장우진 기자에 대해 

주진우 기자를 모티브로 삼았다는 이야기를 확인 할 수 있었다.


각계 각층을 만나 심층 취재한 내용과 자료가 노트 130권에 달한다고 하니 

이렇게 놀라울정도의 사실적이고 디테일한 표현이 충분히 이해됐다.





"우리의 생활 속에서 돈은 꼭 필요한 것이 되 

언제나 경계해야 하는 요물이기도 한다.

그러니 늘 내가 돈을 섬기려 하는게 아닌가 하고 경계해야한다.

'돈'자의 받침 니은을 뒤집으면 '독'자가 된다.

돈은 좋기만 한 것이 아니라 어느 때는 독일 될수도 있다" 라는 

도정 스님의 말이소설 속 김태범 뿐 아니라 

우리가 다시금 곱씹으면서 중요하게 생각해봐야할 말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소설의 형태를 띄고 있지만 다양한 등장인물과 사건을 통해

우리사회가 오랫동안 가지고 있는 잘못된 권력의 모습, 관계,

 행태, 관행등의 문제에 대해 사실적으로 그리고 있기 때문에 

단순한 픽션이 아닌 팩션으로 불러야 할 것 같다.

천년의 질문 1권을 포함한 2권, 3권까지 

천년의 질문 전권을 읽으면서 느꼈던 부분에 대해서는

다음 리뷰를 통해 자세히 남기겠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