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권력은 간신을 원한다 - 한명회부터 이완용까지 그들이 허락된 이유
이성주 지음 / 추수밭(청림출판) / 2019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간신은 간사하고 간악한 신하를 의미한다. 

주로 임금에게 능력이 아닌 아첨으로 권력을 얻고 

그 권력을 이용하여 자신의 재물과 지위를 높여가는 데만 주력한다. 

정치, 외교, 경제에는 관심이 없고 

오로지 자신의 지위 유지와 이익을 위해 애쓴다.


역사 속 간신으로 불리는 인물들을 다룬 영화와 드라마들이 많이 제작 되었다. 

간신이 주인공으로 나오는작품들도 많고, 간신이라는 제목의 영화도 있다.


간신이라고 하면 다들 부정적으로 생각하는데, 

영화와 드라마에서는 중심 역할로 많이 나온다.

간신의 말에 넘어간 임금의 결정으로 

역사적으로 중요한 일들이 많이 일어났기 때문인 것같다.


우리 역사 속에서 간신은 자주 등장했다. 

간신은 왜 사라지지 않고 계속 생기는 것인지, 

간신이 어떤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오랫동안 왕의 가까운 자리를 지키고

왕의 중요한 선택과 판단에 결정적인 영향을 끼쳤는지 궁금했다.


'모든 권력은 간신을 원한다' 에는 

홍국영, 김자점, 윤원형, 한명회,김질, 이완용, 임사홍, 원균, 유자광 등

조선 초기부터 근 현대사까지 9명의 간신에 대한 이야기가 담겨 있다.


책에 소개 된 9명의 간신 대부분 영화와 드라마를 통해 

많이 접했기 때문에 익숙한 인물들이었다.


각 인물에 대해 설명만 하는 것이 아니라, 

들이 왜 간신이 될 수 밖에 없었는지, 

간신으로서 어떤 역할을 했는지, 어떤 능력을 발휘했는지, 

우리 역사의 방향을 어떻게 바꾸었는지 등에 대해 알 수 있었다.


가장 흥미롭게 읽었던 인물은 역시 '한명회' 다.

한명회하면 가장 먼저 떠오는 인물이 바로 세조, 왕이 되기 전 수양대군이다.

그리고 수양대군하면 계유정난이 자연스럽게 연상되고, 

이 계유정난을 설계하고, 성공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 인물이 바로 한명회다.


계유정난 직후 정8품직을 받았다가, 이듬해 승정원에 들어가게 됐고,

한 등급씩 상승하다가 마침내 1466년에 영의정이 된다.


그렇게 한명회는 세조, 예종, 성종까지 3명의 왕을 거치면서

25년이나 권력의 핵심에 있었다.


한명회가 25년간 권력을 유지할 수 있었던 이유로

탁월한 정치적 감각, 현실주의적 성격, 혼인으로 맺어진 인맥을 꼽을 수 있다.


정치감각은 그가 공신훈호를 네 차례나 받은 것이 증명한다.

공신훈호를 받았다는 것은 정치적 격동기에 정치권력과 이해를 일치

시킨 인물이라는 뜻이 된다. 그리고 공신훈호를 여러 번 받았다는 것은

당대 최고의 권력가라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현실주의적인 성격은 계유정란을 통해 

권력을 쥐었지만 정치면에서 크게 나서지 않았다. 

대신 언어, 외교 능력, 거시경제, 군사 전략 등 다양한 분야에서 

뛰어난 능력을 가지고 있었던 신숙주가 전면에 나서게 되었고, 

세조 역시 외교 및 군사에 있어서 

신숙주를 전적으로 신뢰하고 국정을 이끌어갔다.

반면 한명회는 정치적 야심보다는 권력을 지키기 위해 노력했다.


혼맥은 한명회의 두 딸이 세조의 아들인 

예종, 세조의 손자인 성종의 비가 된 것이다.

두 왕의 장인이라는 것이 한명회에게 정치적으로 큰 자산이 되었다.


한명회는 이미 수 많은 영화와 드라마에서 봤기 때문에 

익숙한 인물이고, 잘 알고 있을거라 생각했었다.

근데 이 책을 읽으면서 그동안 한명회에 대해 잘못 알고 있었던 부분과

새롭게 알게 된 사실들이 많아서 흥미로웠다.


'모든 권력은 간신을 원한다' 를 읽으면서 

영화와 드라마에 등장하는 간신의 모습과 

실제 역사 속 모습은 다를 수 있다는 것을 새삼 느낄 수 있었다. 


그리고 '간신은 선악으로 평가 될 수 없다.' 는 책 내용처럼 

간신을 선악의 개념이 아닌 이해의 개념으로 받아들이고, 

그들이 악이 아닌 이익에 대한 욕망과 왕과의 철저한 이해관계를 통해 

만들어졌다는 점을 잊지 말아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