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인 7색 21세기를 바꾸는 교양 인터뷰 특강 시리즈 1
홍세화,박노자 외 지음 / 한겨레출판 / 2004년 6월
평점 :
품절


대부분 좋다는 평들만 있어서 좀 다른 느낌을 전하고 싶어서 입니다. 시작/

박노자 - 복제된 오리엔탈리즘과 한국의 근대
한홍구 - 좌절의 역사, 희망의 역사
홍세화 - 한국사회에서 진보적으로 산다는 것
하종강 - 너희가 노동 문제를 아느냐
정문태 - 전선 취재 17년의 비망록
오지혜 - 시대의 무당, 딴따라를 말한다
다우드 쿠탑 - 살람, 평화로 가는 길

7부분으로 나뉨. 강좌의 내용들을 정리해서 내놓은 책.
어쩌다가 사게 됐는지는 역시 기억 못함. 뭐 어쩌다가 샀겠지.

전문적으로 글을 쓰고, 강연을 하면서 자신의 생각하는 바나 말하고자 하는 바를 전달하기 위해서
적절한 방법들을 항당 생각하고 연구하는 사람들과 그러지 못한 사람들의 말과 글은 결국 차이가 나는가보다.

박노자, 한홍구, 홍세화, 하종강으로 이어지는 글들에서는
- 뭐, 기존의 이사람들의 글들을 안읽은바가 아니기 때문에, 다들 새로운 이야기들은 아니었으나 -
약간 새로운 시간이나 또 다른 정리점들을 발견할 수 있으며,
명확하게 전달되는 것들이 있었기 때문에 꽤 재미있게 읽을 수가 있었다.

반면, 정문태의 책을 읽기도 했음에도 불구하고, 책을 읽을때만큼의 느낌들이 전달되지를 않는다.
이건 정문태의 책을 읽기전에 그의 기사들을 보면서도 느꼈던 뭔가 부족하다고 느꼈던 그것들과 비슷한 느낌. 어쩌면 이것은 사실전달(이 뭔가하는 논쟁은 잠시 접고)을 생명으로 한다는 기자들이 가지고 있는 특성이 다른 강연자들과의 차이점을 주는 것일지도.

배우 오지혜가 이야기한 것들은 딴따라라는 것에 국한된 이야기로 서술했을 뿐,
그 대상을 바꾸어 놓는다면 전혀 새롭지도 않고 특별한 이야기도 찾을 수가 없는 그런 이야기들만을 한다.
그러면서도 뭘 말하고 싶은가를 전달 받을 수가 없다. 꽤나 허전하다.

다우드 쿠탑의 이야기들은 꽤나 들을 만한 것들이 많았을 것 같은데,
통역이 존재해야만 하는 상황 때문일런지 혹은 사회자의 준비 부족이라 할만한 접근 때문일지
역시나 그다지 다가오는 것이 없다.

해서 재미없다고는 할 수 없으나,
재미있게 읽은 부분들은 기존의 읽었던 내용들에서 크게 벗어남이 없었고,
새로운 이야기들을 들을 수 있었던 부분에서는 새롭게 전달되는 뭔가가 부족했다.

뭐, 좀 아쉬운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