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환
앨러스테어 레이놀즈 지음, 이동윤 옮김 / 푸른숲 / 2025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는 일평생 살면서 단 한 번의 죽음을 경험하게 된다. 죽음 이후 무엇이 있는지 살아있는 동안 결코 알 수 없지만, 죽음은 삶의 끝이니만큼 살아있는 동안 후회없이 최선을 다해 살아가려하고 또 삶 속 목표를 찾아 고찰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 책 주인공 사일러스 코드는 여러번의 죽음을 경험한다. 매번 새로운 시대, 새로운 곳에서 시작하지만 이들의 목표는 동일하다. 바로 균열을 찾고 그에 대해 밝혀내는 것. 사일러스는 다시 눈 뜰 때마다 알 수 없는 기시감과 두려움을 느끼면서 서서히 자신이 죽음을 여러 번 반복해 왔다는 것을 깨닫게 된다. 대체 이 균열이란 것의 정체는 무엇이며, 사일러스는 왜 매번 이 곳을 탐험하게 되는걸까? 또 그럴 때마다 왜 죽음을 맞게 되는 것일까?



보통 SF장르하면 미래지향적, 미지의 세계, 광활한 우주를 떠올리기 마련이다. 하지만 처음 책을 펼치면 등장하는 배경은 19세기 한 범선 위이다. 기대와 다른 묘사에 SF장르가 맞나 의아하기도 했다. 이 곳에서 SF장르에 맞는 소재라곤 '균열'이라 불리는 미지의 목표밖에 없어보인다.

하지만 답답하리만큼 의문투성이인 초반부는 다음 진행을 위한 초석일 뿐 착실히 진실에 대한 힌트를 주고 있을 뿐만 아니라 등장인물의 지나가는 말투에도 그 복선을 숨겨놓았다. 덕분에 책장을 한 장 한 장 넘길 때마다 점점 진실을 깨닫고 책장을 넘기는 속도는 빨라지게 된다. 의뭉스러운 주인공들의 대사와 신비한 배경들도 하나의 매력이다. 이 진행방식이 어색하면서도 신선하게 다가왔기에 즐겁게 감상할 수 있었다. 단순히 반복되는 미지의 탐험을 밝히는 데에서 끝내는 게 아니라 더 나아가 세상과 정체성의 정의까지 자연스럽게 생각할 수 있는 화두를 던져주었다.

균열을 향해 탐험하는 사일러스와 함께 독자는 나아가면서도 다시 반복되는 플룻 속에서 의구심을 느끼고 서서히 '전환'되어 간다. 사일러스에 공감하면서 나자신을 찾는 감각은 신선했다. 이 세계과 나자신은 어떻게 구성되고 정의될 수 있는가?

'대전환'에서 말하는 바는 단순하다. 내가 믿고 있는 현실이 과연 현실일까? '나'는 어디까지 '나'로 있을 수 있는 것인가? 이 책을 읽으면서 많은 작품들이 떠올랐다. 매트릭스, 인터스텔라, 인셉션 등 SF장르를 좋아하는 사람들이 빠져들 수밖에 없는 소재를 썼다. 시작은 SF장르인지도 모를 정도로 이질적이지만 점차 빠져드는 자신을 볼 수 있을 것이다.

단순히 흥미로운 소재와 자극적인 스토리가 담긴 SF가 아닌, 교훈과 생각할거리가 있는 SF는 오랜만이다. 처음엔 어떤 힌트도 없어 등장인물들의 행동, 말 등이 이해가 안 가 어려울 수 있겠지만 결실을 위해 나아가다 보면 결국 우리는 커다란 진실을 맞이할 수 있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